괴산 홍범식 고택 괴산 홍범식 고택 홍범식 가옥은 1730년(옹정 8년)경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좌우대칭의 평면구조를 갖는 중부지방의 살림집의 특징적인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건물은 중문을 사이에 두고 동쪽에 안채, 서족에 사랑채를 좌우로 배치하고 사랑채 앞에 행랑채를 두었다. 정남향으로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3.03.01
일본 쇼소인(正倉院) 소장 신라촌락문서 일본 쇼소인(正倉院) 소장 신라촌락문서 <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신라촌락문서는 통일신라시대 서원경(西原京:지금의 청주) 근처에 있던 4개 촌락에 대한 인문지리적 내용을 기록한 문서로 신라민정문서라고도 한다. 1933년 일본 도다이 사[東大寺] 쇼소인[正倉院] 중창(中倉)에 보관..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2.04.01
한국의 괘불 - (3)청주 낙가산 보살사 괘불 한국의 괘불 - (3)청주 낙가산 보살사 괘불 <통도사성보박물관> 보살사는 낙가산(洛迦山)에 소재한 사찰로 법주사의 말사이다. 법주사를 창건한 의신(義信)이 567년(백제 위덕왕 14)에 창건한 이래 고려와 조선에 걸쳐 여러 차례 왕명으로 불사가 이루어지는 등 왕실의 보호를 받은 사찰..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2.03.12
단양 온달산성 단양 온달산성 단양군에서도 영춘면은 강원도 영월군과 접경지역이라 산세가 높다. 이옷에 삼국시대의 성곽인 온달산성이 있어 답사객을 부른다. 온달산성은사적 제264호이며 둘레가 682m에 달한다. 석회암과 사암으로 쌓은 석축산성으로서, 성벽이 산의 정상 부근부터 북쪽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의 윗..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11.30
단양 가곡면 활공장 단양 가곡면 활공장 단양에서 영춘의 온달산성으로 가는 길에 페러글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활공장이 있다. 이곳에 오르면 남한강 상류의 푸른 물결과 멀리 바라보이는 아스라히 사라지는 산봉우리들이 빚어내는 숨막히는 경치가 있다. 늦가을 아침 흐린 날씨 속에 바라본 자연의 모습과..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11.30
단양 도담삼봉 단양 도담삼봉 단양의 이름난 여덟 명승지인 단양팔경 중에서도 가장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도담삼봉은 남한강 푸른 물에 수려한 모습의 바위봉우리 세개가 아름다운 자태로 솟아있는 모습인데 일찍이 조선 개국공신 정도전이 자신의 호를 삼봉이라 할 만큼 젊은 시절을 이곳에서 청유하였다 한다...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11.29
단양 적성비 단양 적성비 단단한 화강암을 물갈이한 뒤 그 위에 직경 2cm 내외의 글자를 음각하였다. 높이 93cm, 윗너비 107cm, 아랫너비 53cm이다. 정확한 건립연대에 대해서는 545년(진흥왕 6) 이전, 550년, 551년 등 각기 다른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1978년 1월 단국대학교박물관 조사단이 발견하였다. 윗부분은 파손되었으..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11.29
단양 적성산성 단양 적성산성 적성(赤城)은 신라 진흥왕 545~551년경에 축조된 산성으로 둘레가 약 900m였으나 대부분 붕괴되었고, 겹으로 쌓은 동북쪽의 안벽 등 일부만 남아있다. 삼국시대의 산성으로는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하며 신라와 고구려의 세력관계 변동을 알아보는데 큰 의미를 가진다. 성내에서 신라의 북진..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11.28
단양 향교 단양 향교 향교는 조선시대에 지방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곳이다. 건물의 배치는 전학후묘(前學後廟)로 앞에는 유교교육을 위한 강당인 명륜당(明倫堂)과 학생들의 거처인 동재(東齎)와 서재(西齎)가 있다. 중간에는 내삼문을 두었고, 그 뒤 편에는 문묘(文廟)인 대성전(大聖殿)과 동무(東廡)..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11.28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신라 경주의 황룡사 9층목탑은 백제의 대목수 아비지의 작품이다. 일본이 자랑하는 최고(最古)의 목조건축물인 효류사(法隆寺)도 백제인들이 지었다. 그렇다면 황룡사 9층탑은 어디에 있으며, 백제인의 후예들은 모두 어디로 사라졌는가? 진천연곡리의 보탑사는 꽃..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