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보탑사 삼층석탑 진천 보탑사 삼층석탑 보탑사 삼층석탑은 상하 2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얹은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다. 많이 훼손되어 허물어지기 직전의 모습이다. 하층기단에는 한면에 3개의 안상을 새겨 장식하였고 그 위에 비교적 두터운 갑석을 얹었다. 갑석에는 얇게 부연을 표현하였다. 상층기단에는 4매..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23
진천 연곡리 석비(石碑) 진천 연곡리 석비(石碑) 진천 연곡사 요사채 옆 비각에는 비석에 아무 글자도 새기지 않은 백비(白碑)가 있다. 우리나라에 4, 5기 정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백비는 무자비(無字碑)라고도 한다. 전남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 비는 주인이 분명한 유일한 백비다. 조선시대 최고의 청백리 박수양의 비석인데..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23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 이 불상은 높이가 7m나 되는 돌로 만든 거대한 보살입상(菩薩立像)이다. 타원형의 얼굴에 눈이 작으면서 감은 듯 웃는 표정이며, 코는 길면서 큼직하고, 볼에는 보조개가 나타나 전체적으로 은근하게 웃는 모습이다. 신체는 양감(量感)이 거의 없는 기다란 직사각형(直四角形)을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22
진천 농다리(籠橋) 진천 농다리(籠橋) 사력 암질의 붉은 돌을 쌓아서 만들어진 다리로, 당초에는 28칸의 교각이었으나 현재는 25칸만 남아 있다. 길이는 93.6m, 폭 3.6m, 교각 1.2m 정도이며, 교각 사이의 내폭은 80cm 내외이다. 돌을 차곡차곡 쌓아 두툼하고 튼실한 교각을 여러 개 만들고, 교각 사이에 넓적한 돌을 하나씩 얹어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22
청주 상당산성 '沙梁部屬長池馹'銘 기와편 청주 상당산성 '沙梁部屬長池馹'銘 기와편 <국립청주박물관> 상당산성에서 찾아진 '사량부속장지일(沙梁部屬長池馹)'명문 기와는 당시 서원경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5소경의 하나인 서원경, 청주는 신라의 수도인 경주와 비슷한 체제아래 도시를 형성했던 것이다. 사량부..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21
청주 상당산성(上黨山城) 청주 상당산성(上黨山城) 상당산 계곡을 둘러 돌로 쌓아 만든 산성으로 둘레가 4km나 되는 거대한 포곡식(包谷式) 석축산성(石築山城)이다. 상당이란 이름은 백제 때 청주목을 상당현(上黨縣)이라 부르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통일신라 때 행정구역인 서원소경이 청주에 설치되는데 이때 김유신의 셋..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21
청주 운천동 사적비(寺跡碑) 청주 운천동 사적비(寺跡碑) <국립청주박물관> 청주 운천동사적비는 본래 충청북도 청주시 운천동에 소재한 어떤 사찰의 내력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웠던 비였는데, 사찰이 폐사(廢寺)된 이후 우여곡절을 겪다가 1982년 3월 21일 청주시 운천동 449번지 공동우물터에서 발견되었다. 높이는 95cm이고, 너..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9
청주 사뇌사터 쇠단지(鐵壺) 청주 사뇌사터 쇠단지(鐵壺) <국립청주박물관> ▲쇠단지(鐵壺, 고려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9
청주 사뇌사터 자물쇠(鐵鎖) 청주 사뇌사터 자물쇠(鐵鎖) <국립청주박물관> 고대의 자물통은 경주 안압지 출토품이나 통일신라시대의 석탑과 부도에 조각된 자물통을 통해 그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대체로 자물통은 가로로 된 긴 횡대를 문고리에 끼워 잠그는데, 횡대의 양쪽에는 연꽃 봉오리나 용머리가 장식된다. 잠금장..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9
청주 사뇌사터 맷돌(石磑) 청주 사뇌사터 맷돌(石磑) <국립청주박물관> 맷돌은 곡식을 갈 때 사용한 도구로, 차를 끓여 먹기 위해 찻잎을 갈 때도 사용하였다. 또 '풀매'라 하여 풀을 쑤고자 물에 불린 쌀을 갈기 위해 사용했던 맷돌이 있는데 일반 맷돌에 비해 비교적 작고 풀이 흘러내리는 태두리의 골도 좁은 편이다. 옛날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