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흥사리 매향비 사천 흥사리 매향비 매향(埋香)은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에 근거한 일종의 신앙의식으로, 매향비는 내세(來世)에 미륵불(彌勒佛)의 세계에 태어나기를 염원하면서 복을 빌기 위하여, 향목(香木)을 해수(海水)와 시냇물이 만나는 지점에 묻고 그 사실을 돌에 새겨 기념하기 위해 세우..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7
사천 다솔사 응진전 사천 다솔사 응진전 다솔사의 응진전은 극락전과 같은 시기에 창건된 전각으로 극락전보다 높은 장대석 기단 위에 위치해 있다. 이 전각은 극락전과 같은 건축구조형식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과 맞배지붕으로 된 목조와가로 되어 있다. 처마는 연목과 부연으로 된 겹처마로 되어 ..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6
사천 다솔사 극락전 사천 다솔사 극락전 다솔사의 연혁이 말하듯 임진왜란의 병화로 폐허화되고 이로부터 95년이 지난 숙종 12년(1686)에 신양자· 영일 등의 스님이 10년 세월에 걸친 중창불사로 크게 중흥했는데 극락전도 이때에 건립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부터 60여 년이 지난 영조 24년(1748) 제야에 삼전(三..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6
사천 다솔사 안심료 사천 다솔사 안심료 安心寮, 竹爐之室 안심료(安心寮)는 1930년대에 지은 단층의 평범한 요사이지만 만해 한용운이 이곳에 기거하면서 한국 불교의 법맥을 이은 유서 깊은 장소이다. 안심료 앞에는 측백나무 세 그루가 높다랗게 서있는데, 한용운 스님의 회갑 때 지인(知人)들과 함께 심은 ..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5
사천 다솔사 적멸보궁 사천 다솔사 적멸보궁 ▲작멸보궁 ▲작멸보궁 ▲작멸보궁 ▲작멸보궁에서 보는 진신사리탑 ▲진신사리탑 ▲진신사리탑 ▲진신사리탑 ▲진신사리탑 <2018. 7. 28>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5
사천 다솔사 대양루 사천 다솔사 대양루 대양루(大陽樓)는 다솔사의 현존 건물 가운데 가장 오래된 누각(樓閣)으로서 조선 영조 34년(1758)에 중건된 건물이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 대개의 사찰이 그러했듯이 다솔사도 병화(兵火)로 인하여 완전 전소되어 그대로 방치되어 오다가 95년이 지난 후..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4
사천 다솔사 어금혈봉표 사천 다솔사 어금혈봉표 御禁穴封表 수많은 병사를 거느리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다솔사(多率寺)라고 하는데, 천년고찰임을 입증이라도 해줄 듯이 초입부터 울창한 장송(長松)들이 하늘을 뒤덮고 있다. 그 오솔길을 한참 오르다 보면 오른쪽 길가의 커다란 바위를 만나게 된다. 이 바위에..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4
사천 보안암 석굴 사천 보안암 석굴 보안암은 다솔사에서 서북쪽으로 약 2km쯤 떨어져 있으며, 위치는 곤양면 무고리 천왕봉(일명 : 수명산) 산정 가까운 산협을 이용하여 그 중앙에 위치해 있다. 보안암 또는 미륵암(彌勒庵)이라고도 하는데 알려지기로는 보안암석굴로 더 유명하다. 지금도 흔히 미륵암으..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3
사천 보안암 가는 길 사천 보안암 가는 길 ▲보안암 가는 길 ▲보안암 가는 길 ▲보안암 가는 길 ▲보안암 가는 길 <2018. 7. 28>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8.23
남원 북천리 석장승 남원 북천리 석장승 북천리 석장승은 농로 입구 양쪽에 서 있는데 각각 東方逐鬼大將軍과 西方逐鬼大將軍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름으로 보아 북천리 장승은 방위를 지키는 수호신이다. 오른족에 서 있는 동방축귀대장군은 남자상으로, 주먹만 한 상투가 머리 위에 올라가 있고, .. ◈한국문화순례◈/지리산문화권 2018.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