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선병국 가옥 장독대 보은 선병국 가옥 장독대 일제강점기에 지은 전통가옥이다. 속리산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물이 큰 개울을 이루는데, 개울 중간에 돌과 흙이 모여 삼각주를 이루니 배의 형국 같은 섬이 되었다.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숲을 이룬 중앙에 엄청나게 큰 기와집이 있으니 여기가 인근에서 제일가..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2.02
보은 삼년산성 아미지 보은 삼년산성 아미지 아미지(蛾眉池)는 서문지 안쪽에 자리한 연못이다. 아미는 초승달같은 눈썹이니, 곧 미인의 눈썹을 가리키는데 연못의 이름으로는 매우 아름답고 운치있는 이름이다. 아미지에는 산성내부의 계곡에 흐르는 물을 가두어 저장했을 것이고 성안에서 필요한 물을 공급..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2.01
보은 삼년산성 서북곡성 보은 삼년산성 서북곡성 북문지를 지나면 가파른 오르막길이 이어지고 곧 삼년산성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이른다. 여기서부터는 편안한 내리막길이다. 중간쯤 내려오면 서북곡성에 닿는다. 서북곡성에서는 서문지에서 남문지에 이르는 성벽의 장대한 모습이 그대로 드러난다. ▲서북곡..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2.01
보은 삼년산성 북문터 보은 삼년산성 북문터 북문지는 능선이 계곡에 이어져 낮아진 위치에 자리 잡았다. 계곡을 따라 올라오는 적군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삼년산성의 치밀한 설계는 적의 공격을 쉽사리 허용하지 않는다. 문 밖에 이중으로 성벽을 쌓아 이 벽을 돌아 올라서야 문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만..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2.01
보은 삼년산성 동북곡성 보은 삼년산성 동북곡성 동북곡성은 동문에서 북문으로 가는 중간지점에 자리잡았다.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옛날 어른들의 상투처럼 뾰족이 솟아있다. 서부곡성에서는 삼년산성 북편의 경치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이곳에서 적들의 동태를 살피기에 알맞은 지점이다. 동북곡성에서 북..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2.01
보은 삼년산성 동문터 보은 삼년산성 동문터 동문지는 삼년산성에서 가장 긴 동쪽 성벽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동문지는 문 밖에서 문으로 들어오는 길이 한번 꺾여서 들어오도록 ‘ㄹ’자 모양으로 길을 만들었다. 문을 통과하는 검색하고 적군을 다양한 방향에서 공격하게 용이하도록 한 시설이다. 동문지는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1.30
보은 삼년산성 남문터 보은 삼년산성 남문터 서남곡성을 지나 잠시 오르면 남문지가 있다. 남문지는 너비가 3.6m, 길이 10.8m이고 높이는 서쪽면이 약 5m, 동쪽면이 9m에 이른다. 문의 형식은 사다리를 이용해 오르는 구조로 문을 성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인 완벽한 형태의 바닥확쇠 한쌍과 문에 아용된 것으로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1.30
보은 삼년산성 서남곡성 보은 삼년산성 서남곡성 삼년산성의 축성에 애잔한 전설이 전한다. 이 산속에는 장사로 이름난 남매가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장사남매는 모두 몸이 건강하고 억세기로 말하면 태산을 들고 천근 바위를 움직이는 힘을 자랑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있는 것은 두 남매 중에 누가 더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1.30
보은 삼년산성 서문터 보은 삼년산성 서문터 보은 삼년산성은 돌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세웠다. 『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항산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충..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4.11.30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황룡사 구층목탑터를 찾을 때에 느끼는 점은 일본에 그렇게 많이 남아 있는데, 왜 우리나라에는 그 많던 목조탑이 남아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목탑을 볼 수 있는 곳이 보은의 법주사 팔상전과 화순 쌍봉사의 대웅전이 유이한 곳이다. 그나마도 쌍봉사 대..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3.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