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화암사 추사 필적 암각문 예산 화암사 추사 필적 암각문 詩境 시경은 시의 境界 또는 詩興을 불러일으키는 風趣라는 뜻으로 좋은 경치를 뜻하기도 한다. 이는 추사 김정희 선생이 중국 연경에 갔을 때 스승인 覃溪 翁方綱으로부터 받은 탁본 글씨를 새겨놓은 것이다. 예서로 쓴 이 글씨는 송나라 시인으로 많은 사..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9
예산 오석산 화암사 예산 오석산 화암사 오석산 아랫자락에 위치한 화암사는 추사나 그의 일가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는 절이다. 이 사찰을 중건한 김한신이 김정희의 증조부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김한신은 영조의 부마로서, 영조 임금의 둘째 딸이자 사도세자의 누이동생인 화순옹주와 결혼하여 월성위로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8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 보물 제794호. 높이 좌상 120cm, 동면입상 130cm, 북면입상 168cm. 현존하는 삼국시대 불상 가운데 가장 연대가 오래된 큰 규모의 석불이다. 1983년에 발견된 것으로 당시 도괴되어 땅에 묻힌 상태여서 많이 손상되어 있었는데, 특히 서면상은 마멸이 가장 심해 알아볼 수 없..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7
예산 보덕사 가야사터 석등 예산 보덕사 가야사터 석등 조선말(朝鮮末) 흥선대원군(興宣大阮君)이 집정(執政)을 하게 되자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의하여 명당이라 하는 가야사(伽倻寺) 터에, 절을 허물고 부친(父親) 남연군(南延君)의 능(陵)을 안치하였다. 그후 고종황제(高宗皇帝) 등 왕손이 번창하므로 대원군..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6
예산 보덕사 가야사터 삼층석탑 예산 보덕사 가야사터 삼층석탑 현재 보덕사 경내에 있는 석탑은 가야사터에 붕괴돼 있던 것을 1914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 덕산 옥계리 백모씨가 군산에 거주하는 일본인 모리 키구고로(森菊五郞)란 상인의(1906년 모리상점) 의뢰로 반출하는 것을 당시 보덕사 주지가 항의하여 다시 회..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5
예산 보덕사 극락전 예산 보덕사 극락전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修德寺)의 말사이다. 본래 옥양봉 남쪽 기슭에 있던 가야사(伽耶寺)를 승계하여 1871년(고종 8)에 창건하였다. 가야사에는 금탑(金塔)이라 불리는 지극히 빼어난 철첨석탑(鐵尖石塔)이 있었고, 그 탑의 사면에는 석감(石龕)이 있어..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4
풍수의 전형 - 예산 남연군묘 풍수의 전형 - 예산 남연군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는 높은 언덕에 반구형 봉분이 크게 자리 잡고 있으며, 앞에 석물과 비석이 서 있다.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것을 1846년 이곳으로 이장했다. 이하응은 풍수지리설을 믿고 아버지인 남연군의 무덤 자리를 찾기 위하여 지사(..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3
마음을 여는 절 - 서산 상왕산 개심사 심검당 마음을 여는 절 - 서산 상왕산 개심사 심검당 개심사(開心寺) 대웅전(瑞山開心寺大雄殿)의 전면 우측에 자리한 조선전기 당우인 심검당(尋劍堂)은 1962년 건물을 해체 수리할 때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1477년(성종 8)에 3중창하였으며, 영조 때 6중창을 거쳤다고 한다. 1974년 보수하였다. 정..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2
마음을 여는 절 - 서산 상왕산 개심사 대웅전 마음을 여는 절 - 서산 상왕산 개심사 대웅전 1484년(성종 15) 중창된 개심사(開心寺)의 중심 불전으로 1941년 건물을 해체 수리하면서 찾아낸 상량문 기록에 의하면, 서산 개심사 대웅전(瑞山開心寺大雄殿)은 1484년 중창되었다고 한다. 다른 부재에서 이후에 기록된 2개의 상량문이 발견되었..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5.01
마음을 여는 절 - 서산 상왕산 개심사 오층석탑 마음을 여는 절 - 서산 상왕산 개심사 오층석탑 개심사 오층석탑은 언제 건립되었는지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개심사를 중수한 1350년(고려 충정왕 2)경일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143호로 지정된 개심사 대웅전의 앞마당에 위치한다. 개심사 오층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5층의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