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미륵리 말그림기와(馬畵瓦) 충주 미륵리 말그림기와(馬畵瓦) <국립청주박물관> ▲말그림기와(馬畵瓦, 고려시대) ▲말그림기와 상세 ▲말그림기와(馬畵瓦, 고려시대) ▲말그림기와 상세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6
청주 율량동 토기병(土器甁) 청주 율량동 토기병(土器甁) <국립청주박물관> 고려시대에는 청자, 청동기, 목기, 토기 등이 신분이나 생활의 차이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매병, 정병, 유병을 비롯한 병, 주전자 등은 그 모양이 비슷하다. 이들 중 일상생활에 널리 쓰이는 큰 항아리는 청자나 청동으로 제작하..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6
제천 시곡리 장군(缶) 제천 시곡리 장군(缶) <국립청주박물관> ▲장군(土製缶, 고려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6
국립청주박물관 '惶丕昌天'銘 거울 국립청주박물관 '惶丕昌天'銘 거울 <국립청주박물관> 이 동경은 원형의 형태이지만 가장자리가 팔릉(八稜)형이며, 중간에 1개의 손잡이가 달려있다. 동경 상단에는 '황비창천(煌丕昌天)이라는 명문이 양각되어 있다. 황비창천이란 '밝게 빛나고 창성한 하늘 또는 세상'을 뜻하는 것으로, '천하안창(..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5
국립청주박물관 용ㆍ나무ㆍ집무늬거울(龍樹殿閣文鏡) 국립청주박물관 용ㆍ나무ㆍ집무늬거울(龍樹殿閣文鏡) <국립청주박물관> 거울은 본래의 용도 외에 주술적인 도구나 권력의 상징물로도 사용되었으나 차츰 화장문화가 발달하면서 널리 사용되었다. 거울은 처음에는 황색을 띠지만 녹이 슬면 청색으로 변하여 보는 면이 흐려지게 되므로 자주 문지..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5
국립청주박물관 쌍룡무늬거울(雙龍文鏡) 국립청주박물관 쌍룡무늬거울(雙龍文鏡) <국립청주박물관> ▲쌍룡무늬거울(雙龍文鏡, 고려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5
괴산 광덕리 청동주전자(靑銅注煎子) 괴산 광덕리 청동주전자(靑銅注煎子) <국립청주박물관> ▲청동주전자(靑銅注煎子, 고려시대)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5
충주 신만리 청동범종 충주 신만리 청동범종 <국립청주박물관> 우리나라의 범종은 '한국종'이라고 불릴 만큼 독특한 양식을 갖고 있다. 윗면에는 용이 허리를 구부려 고리의 역할(龍紐)을 하고, 그 옆에 중국이나 일본 종에서 찾아볼 수 없는 원통형의 음통(音筒)을 가지고 있다. 몸체의 상하단에는 장식 띠(上下帶)가 있..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5
청주 수동 청동범종 청주 수동 청동범종 <국립청주박물관> ▲청동범종(고려시대) ▲용뉴 ▲비천 <2009. 12. 25>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5
청주 운천동 쇠북(靑銅金鼓) 청주 운천동 쇠북(靑銅金鼓) <국립청주박물관> 반자(飯子)는 사찰의 종루나 당(堂) 앞 처마 밑에 걸어 두고 쳐서 울리는 불구의 하나로 금구(金口), 금고(金鼓), 정고(鉦鼓)라고도 한다. 곧, 반자는 금속으로 만든 북으로 사람을 모이게 하는 데 사용했던 도구였던 것이다. 형태는 징과 같은 모양으로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0.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