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유신리 마애여래좌상은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 존제산 북쪽 기슭의 4m가 넘는 바윗돌에 새겨진 불상이다. 독존의 여래상이며 좌측에 미완성으로 남아 있는 공양상의 흔적이 확인된다. 마애불이 새겨진 곳은 고려시대에 세워진 존제사(尊帝寺) 절터라고 전한다. ..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7.01.04
보성 옥마리 오층석탑 보성 옥마리 오층석탑 고려 성종 15년(966)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월림사터에 남아있는 탑으로, ‘벽옥탑(碧玉塔)’이라고도 한다. 상하층으로 구분된 2중 기단으로 탑신과 옥개석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된 석탑이다. 현재는 기단부 및 5층옥개석까지는 완존하나 상륜부가 없다. 기단부는 2..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7.01.03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충렬리 파석불입상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충렬리 파석불입상 보조선사 창성탑 옆에는 목이 잘려진 석불입상 한구가 쓸쓸히 서 있다. 장흥읍 충렬리에서 옮겨온 석불이라고 한다. 가사의 소맷자락이 길게 발목부분까지 드리워졌으며 발은 따로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이나 현 두 손은 가슴 앞에서 아래위로 ..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7.01.02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비 창성탑 아래쪽에 탑비가 남아있다. 탑비는 비문과 귀부 및 이수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데,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인 김영(金穎)이 짓고, 글씨는 김언경(金彦卿)이 썼다. 그런데 창성탑비의 전반부 6행은 곤미현령 김원이 구양순체..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7.01.01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보조선사창성탑 가지산 보림사에 가지산문을 개창한 보조선사 체징의 승탑이다. 승탑은 팔각원당형으로 기단부가 상대석·중대석·하대석으로 높게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좁고 길쭉한 구조를 보인다. 하대석은 상하 2단으로 이루어졌는데, 파손이 ..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6.12.31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우물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우물 보림사 마당 한가운데에 우물이 자리잡고 있다. 깊게 판 우물은 아니고 지표 가까이에서 흐르다가 지표로 솟아나는 샘물인 듯하다. 기둥을 세우고 지붕을 씌워 떠 마실 수 있게 해놓았다. ▲보림사 우물 ▲보림사 우물 ▲보림사 우물 <2016. 11...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6.12.30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철불 도피안사의 철조비로자나불상(865)과 더불어 통일신라 말기의 명문이 있는 최초의 예이자 규모가 큰 대표적인 불상이다. 왼쪽 팔 뒤에 조상기가 음각되어 있는데 "대중 12년(헌안왕 2년) 무주장사 부관 김수종(武州長沙副官金遂宗)이 왕에게 불..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6.12.29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석등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석등 삼층석탑 사이에 놓인 석등은 탑과 더불어 전부재를 완전히 갖춘 것으로서 전형적인 양식을 취하고 있다. 방형의 넓은 지대석 위에 역시 방형의 대석과 8각의 기대석이 놓였다. 네모꼴의 바닥돌 위에 놓은 기대석은 연화하대석보다 크기가 작..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6.12.28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동서삼층석탑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동서삼층석탑 남북으로 세워진 두 탑은 규모와 양식이 거의 동일하다. 두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세우고 그 위에 상륜을 얹은 신라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다. 넓은 지대석 위에 하대석·중석·갑석을 붙여 4매의 돌로 하층기단을 ..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6.12.27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사천문 가지산문의 고향 - 장흥 가지산 보림사 사천문 정면 3칸, 측면 2칸의 사천문에는 목조사천왕상 4구와 소현 금강역사상 2구가 버티고 서있다. 1995년 순천대 박물관 조사단에 의하여 이 사천왕상 무릎과 어깨에서 250여 권의 불서가 발견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가정 18년 즉 중종 34년(1539) 조성.. ◈한국문화순례◈/영산강문화권 2016.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