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가네샤 캄보디아 가네샤 Ganesha 크메르, 10세기 후반 2007년 구입 시바와 파르바티의 아들인 가네샤는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신 중 하나로, 인간의 몸에 코끼리의 머리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신도들은 가네샤가 장애물을 없애주고 번영을 가져온다고 믿었다. 캄보디아에서 가네샤에 대..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5.05.15
캄보디아 비슈누와 락슈미 캄보디아 비슈누와 락슈미 Vishunu and Lakshmi 크메르, 12세기 2011년 구입 비슈누는 우주의 창조가이며 수호자로, 여런 화신化身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 재난에 처한 세계를 구제한다고 믿어진다. 흔히 하나의 얼굴에 네 개의 팔을 지닌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손에는 무기를 지물로 드는 경우가 ..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5.05.15
캄보디아 우마 캄보디아 우마 Uma 크메르 13세기 2006년 구입 우마는 시바의 배우자로 파르바라티라고도 불린다. 힌두교의 여신 중 우마는 자애로운 어머니이자 순종적인 부인의 이미지를 대표한다. 앙코르의 조각 중에서 자야바르만 7세(재위 1131~1201) 시기의 조각은 바온 양식으로 대표된다. 이 상은 실제..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5.05.15
대구 팔공산 동화사 발우공양도 대구 팔공산 동화사 발우공양도 지우스님 소장, 작가미상(미얀마작가) 그림의 제목이 발우공양이다. 발우공양은 사찰에서 스님들이 하는 식사법을 말한다. 불교에서는 밥 먹는 것을 '공양'이라 하는데, 이것은 단순히 밥을 먹는 행위가 아니라 부처의 탄생, 성도(成道), 열반까지의 과정을..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1.09.26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근빈책봉동책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근빈책봉동책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뜨득 21년(1868) 후궁인 응우옌르엉(阮良)씨를 근빈(謹嬪)에 봉한다는 내용의 사령장을 2년 뒤인 1870년에 다시 발급한 것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뜨득 21년 무진년(1868) 정월 경술삭 다음 6일 을묘일에 승천흥운하신 황제..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1.04.10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재인책봉비단책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재인책봉비단책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뜨득 27년(1874)에 레주안띤(Le Doan Tinh)을 후궁에 봉하는 사령장이다. 표지는 귀갑무늬 테두리 안에 운룡무늬와 파도무늬가 여러 색실로 수놓아져 있고 내지의 5면에 걸쳐 먹으로 교서의 내용을 필사하고 ..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1.04.10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동시책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동시책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뜨득 19년(1866) 후궁인 응우엔찐(阮貞)씨의 사망 후 시호를 내리는 내용의 시책(諡冊)이다. 뜨득 19년 병인년(1866) 5월 기미삭 다음 18일 병자일에 승천흥운(承天興運)하신 황제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아, 죽은 재인 응우옌..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1.04.10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선비책봉비단책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선비책봉비단책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뜨득 13년(1860) 후궁인 응우옌딘(Nguyen Dinh, 阮廷)씨의 첩지를 승격하여 선비(善妃)에 봉하는 내용의 사령장이다. 표지의 가장자리를 귀갑무늬로 수놓고 그 중앙에 운룡무늬와 파도무늬를 여러 색실로 수놓았다. 내지는..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1.04.09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황제칙서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황제칙서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동카인 황제 원년에 수도 후에 근교에 위치한 흐엉짜(Huong Tra, 香茶) 현 하이깟(Hai Cat, 海島)사원에 봉안된 토착신 즉바오(Duc Bao, 翊保)에 내린 칙서이다. 황제가 혼짼(Hon Chen, 魂戰)사원의 티엔이아나(Thien Y A Na, 天依阿那)여신..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1.04.09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어서함 베트남 응우옌 황실 - 후에궁정박물관 어서함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1851년(뜨득 4) 어서함은 황제의 책을 보관하던 상자이다. 주칠함으로 초화문과 운문이 금칠로 그려졌던 흔적이 남아있다. 뜨득 황제의 어제시가 뚜껑 표면에 새겨져 있다. ▲어서함(御書函) ▲어서함(御書函) <2011. 3. 12> ◈동남아시아문화순례◈/인도차이나문화권 2011.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