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서동리 남화사터 삼층석탑 봉화 서동리 남화사터 삼층석탑 봉화군 춘양면 춘양중학교 안에 13.5m 거리를 두고 동·서로 마주 서 있는 2기의 석탑이다. 이곳은 신라의 사찰인 남화사 터로 알려져 있는데, 675년(문무왕 16)에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서북쪽으로 6㎞ 정도 떨어진 곳에 각화사를 창건하면서 절이 폐사되었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2
봉화 한수정 봉화 한수정 조선 중기의 학자인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손자 석천공(石泉公)이 1608년(선조 41)에 건립한 정자로, 1741년(영조 17)에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丁자형 평면의 건물이 동남향으로 위치하여 있고, 와룡연(臥龍淵)이라 불리는 연못이 삼면에 둘러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1
예천 상금곡리 오미봉 태실석함 예천 상금곡리 오미봉 태실석함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아기가 태어나면 장수를 기원하는 뜻으로 명산을 찾아 아기의 탯줄과 태반을 묻었다. 태는 항아리에 넣은 후, 주인공의 생년월일시와 이름을 적은 지석과 함께 큰 석함에 넣어 안치하였다. 이 석함은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북면 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1.21
문경 상리 삼층석탑 문경 상리 삼층석탑 이 탑은 문경서중학교 뜰에 있던 것을 문경읍사무소로 옮겼다가 1997년 박물관으로 옮겨온 것이다. 높이는 1.5m로서 상대석과 1층 옥신은 완전하나 나머지 탑재는 파손이 심하고 2, 3층의 옥신과 상륜부가 없어졌다. 이 탑은 원래 문경읍 상리에서 옮겨왔다는 이야기가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6.10.26
문경 미면사터 다층석탑 기단부 문경 미면사터 다층석탑 기단부 이 부재는 석탑의 기초가 되는 기단부재로서 원래 문경시 산북면 소야리 미면사터에 있던 것을 2007년 이곳으로 옮겨놓은 것이다. 기단부재는 탑신이 자리잡았던 폭 110cm 정도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탑신부재 중 옥개석 일부가 함꼐 발견되어 박물관에 보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6.10.25
문경 미면사터 승탑받침 문경 미면사터 승탑받침 이 석재는 문경시 산북면 소야리 미면사터에 있던 것을 2007년 이곳으로 옮겨놓은 것이다. 승탑의 받침석으로 추정이 되며 연화문이 조각되어있고 원형의 승탑이 올려져 있었으며 그 가운데 홈이 파여져 있다. ▲미면사터 승탑받침 ▲미면사터 승탑받침 ▲미면사..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6.10.24
문경 금학사터 삼층석탑 문경 금학사터 삼층석탑 이 석탑은 원래 문경시 문경읍 마원리 우무실 마을 뒷편 금학사터에 무너져 있던 것을 2003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복원한 것이다. 이중으로 쌓은 기단 위에 세워진 고려시대 삼층석탑으로 복원된 전체 높이는 3.9m이다. 탑 점녕에 특별한 문양은 보이지 않고 옥신석..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6.10.23
안동 함벽당 안동 함벽당 함벽당은 조선 중기 누각으로 조선 명종 때의 무신 절충장군 강희철(康希哲)이 관직에서 물러난 후 세워 거주하던 곳이다. 절충장군(折衝將軍)은 무신에게 주어지는 정3품의 관계(官階)이다. 문신에게는 통정대부(通政大夫)가 주어진다. 모두 지금의 차관급이라 할 수 있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6.03.02
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개목사 원통전은 전체적으로 조선 전기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어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1969년 중수할 때 나온 상량문에 ‘천순원년(天順元年)’이라고 적혀 있어 1457년(세조 3)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응진전(應眞..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6.03.01
안동 천등산 개목사 대문채 안동 천등산 개목사 대문채 개목사는 신라 때 의상 대사가 처음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젊은 시절 의상이 이 곳 산 정상 부근의 큰 바위 아래에서 수도를 하고 있자니, 어느 날 하늘에서 커다란 등불이 비쳐 99일만에 도를 깨쳤다고 한다. 이에 의상은 지금의 자리에 99칸 절을 짓고 천..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6.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