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가평리 계서당 봉화 가평리 계서당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지어진 창녕 성씨 집성촌에 있는 종택이다. 조선 중기 문신이었던 계서 성이성(成以性)이 이곳에서 문중 자제들을 가르치고 후학양성에 힘썼다. 소나무 숲이 우거진 동산 기슭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집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 계서 성이성(15..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22
봉화 축서사 석등 봉화 축서사 석등 8각 석등이며,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과 3단의 받침돌, 심하게 부서진 지붕돌을 갖추고 머리장식을 얹었다. 하대석에 새겨진 연꽃의 꽃잎 끝마다 작은 꽃 조각이 달렸다. ▲석등 ▲석등 <2017. 5. 20>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21
봉화 축서사 석탑 봉화 축서사 석탑 축서사에 올랐다. 예전에는 작은 사찰이었는데 엄청난 불사를 일으켜 거대 사찰로 변모하였다. 넓은 뜰에는 하얀 석탑 한 기가 우뚝 서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희귀한 석탑이다. 5층의 탑신 위에 상륜부를 얹은 모양이다. 탑신은 亞字形으로 중박의 경천사지십..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20
봉화 북지리 마애불상군·마애탑 봉화 북지리 마애불상군·마애탑 마애여래좌상에서 약 100m 정도 덜어진 바위 암벽에 새겨진 마애삼존불과 승상 그리고 마애탑이 희미하게 새겨져 있다. 삼존불이 새겨진 바위의 풍화가 심해 날이 갈수록 삼존불의 모습이 쇠해 가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이 불상들을 북지리 마애불상군..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9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국보 제201호. 높이 4m. 암산을 파서 거대한 감실형 석실을 만들고 원각에 가까운 커다란 불좌상을 고부조로 새긴 것이다. 현재 감실(龕室)의 윗부분이 떨어져 나갔고 불상 자체도 다소 파괴되고 풍화까지 된 상태이다. 감실형 광배에는 화불이 배치되었는데 일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8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 봉화 닭실마을 청암정 봉화 닭실마을의 청암정(靑巖亭)과 석천계곡은 함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석천계곡은 문수산을 분수령으로 남서류하는 창평천과 닭실마을 뒤에서 흘러내리는 동막천이 합류하는 곳에 위치한다.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석천계곡에는 석천정사가 있는데, 이 주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7
봉화 닭실마을 충재고택 봉화 닭실마을 충재고택 몇 년만에 닭실마을 충재 고택을 찾았다. 우리 역사에서 훌륭한 인물로 추앙받는 충재 권벌선생의 고택인지라 함께 답사하는 분들과 종택의 솟을 대문 앞에 이르렀다. 하지만 대문에는 '우리는 종택을 개방하지 않습니다'라는 안내판 만이 우리를 맞았다. 가슴이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6
봉화 태백산 각화사 귀부 봉화 태백산 각화사 귀부 장방형의 지대석(地臺石)과 귀부가 하나의 석재로 조성되었다. 지대석의 전면 양 모서리는 모를 죽여 사선형을 이루고 있다. 귀부는 앞과 뒤에 각각 2발이 모두 표현되었는데, 모두 4개씩의 발가락이 묘사되었다. 전면의 발가락은 발톱이 앞을 향해 전진하는 자세..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5
봉화 태백산 각화사 석탑 봉화 태백산 각화사 석탑 「봉화군태백산각화사중건기」에 따르면 신라 문무왕(661~681)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고 하며, 각화사 귀부(경상북도 유형문화재 189호) 안내표지판에는 686년(신문왕 6)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고려 예종 때 국사 무애계응(無礙戒膺)이 중건하였다. 그 뒤 여..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4
봉화 서동리 남화사터 석불좌상 봉화 서동리 남화사터 석불좌상 남화사터 삼층석탑 뒤켠에 석불 한기가 불두가 없어진 채로 쓸쓸히 앉아있다. 새로 불두를 만들어 올렸으나 불신과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인은 항마촉지인을 한 것으로 보인다. ▲석불좌상 <2017. 5. 20>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