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연당리 석불좌상 영양 연당리 석불좌상 이 불상은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추었는데 손상이 다소 있지만 9세기 불상 계열을 따른 통일신라 말기의 작품이다. 얼굴은 손상이 있어 분명하지 않지만 띠주름식의 삼도가 분명한 목, 사각형의 신체, 반듯한 어깨와 좁아진 무릎 등 경직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손..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5.09.11
영양 서석지 영양 서석지 이 곳은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정영방(鄭榮邦) 선생이 만든 조선시대 민가(民家)의 대표적인 연못(池塘)이다. 선생은 동래(東來) 정씨로 호는 석문(石門)이고 자는 경보(慶輔)이다. 선생은 정경세(鄭經世)선생에게 배웠고 성리학과 시(詩)에 능하였고, 진사(進士)에 합격한 뒤..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5.09.11
영양 산해리 모전석탑 영양 산해리 모전석탑 규모와 솜씨에서 당당한 위풍을 보여주는 대작으로 이정도의 규모로 탑을 조영한 사찰이라면 꽤 이름이 있는 가람이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이름을 알 길이 없다. 탑은 낮은 구릉을 돌아가는 강을 가가이 두고 조성되어 있다. 이 탑은 전탑의 형식을 따라 지면에..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5.09.11
안동 선성현 객사 안동 선성현 객사 고려와 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했던 관아건물이다. 조선 숙종 38년(1712)에 다시 지어진 것으로 전해오는데, 안동댐 건설로 1976년 지금의 위치로 옮겨졌다. 一자형 구조를 지니고 있는 이 객사는 앞면 11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1.07
안동 월영대 안동 월영대 아름다운 경치 속에서 달빛을 감상하던 임원의 암벽에 새긴 이름으로, 달이 비치는 대(臺)라는 뜻이다. 원래는 안동 월곡면 사월리의 소나무숲에 ‘금하재’라는 정자와 함께 있었으나, 1974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현판의 글씨는 해서체로 써있으며 운치있고 우아한 선비의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1.07
안동 석빙고 안동 석빙고 석빙고는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창고이다. 특히 이 석빙고는 낙동강에서 많이 잡히는 은어를 국왕에게 올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조선 영조 13년(1737)에 지어졌다. 형태는 동·서로 흐르는 낙동강 기슭의 넓은 땅에 강줄기를 향하여 남북으로 길게 누워 있..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1.07
안동 월영교 안동 월영교 안동댐과 보조댐 사이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나무다리가 있다. 이름하여 월영교(月映橋), 달빛이 비치는 다리라는 운치있는 이름이다. 안동 지역에 달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고, 안동댐 민속경관지에 월영대(月映臺)라고 적힌 바위글씨가 있어 월영교라고 하였다. 길이 387m에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1.07
오천 문화재단지 - 안동 탁청정 오천 문화재단지 - 안동 탁청정 탁청정 종가에 딸린 조선시대의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이나 측면의 길이가 길어 거의 정사각형에 가깝다. 방2칸에 대청 4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누마루에는 한석봉이 쓴 탁청정 현판 외에도 퇴계, 금계, 농암, 청풍자 선..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1.06
오천 문화재단지 - 안동 양정당 오천 문화재단지 - 안동 양정당 양정당 김부신공이 세운 정각으로 외내에서는 설월당 윗마을 시내 건너에 있었다. 뒤에 소나무가 울창한 산을 거느리고 들판과 시내를 앞에 둔 훌륭한 터였다. 둘레를 담으로 둘렀고 일각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전면 툇마루에 계자각 헌함으로 되어 있다.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1.06
오천 문화재단지 - 안동 지애정 오천 문화재단지 - 안동 지애정 탁청청 뒤로 올라가면 지애정입구 표지석을 만나게 된다. 표지석을 따라 언덕을 올라 지애정 담장을 돌면 지애정 출입문인 일비문이 보인다. 군자마을 동쪽 제일 끝에 있다. 이곳에서 군자마을 회관이 보이고 많은 주민들을 만날 수도 있다. ▲지애정 ▲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