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사당 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사당 안채 북쪽에는 사당이 별도의 담장으로 구획되어 위치하고 있다. 사당은 조상들의 신주(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 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집이다. 가묘라고도 한다. 유교 사회였던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양반들에게 반드시 사당..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9
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백승각 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백승각 안채의 동남 모서리에는 백승각이라고 하는 건물이 있는데 여기에는 ‘대동운부군옥’ 목각판과 ‘자치통감강목’ 및 ‘옥피리’가 보관되어 있다. 대동운부군옥은 원(元)의 음시부가 지은 〈운부군옥 韻府群玉〉의 체재를 본떠 만든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8
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안채 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안채 안채에 해당하는 초간종택은 서쪽에 주산을 두고 동향으로 열린 넓은 들을 바라보며 배치되었다. 안채는 ‘ㅁ’자 형이며 그 동북 모서리에 사랑채가 붙어있는데 이를 별당이라고 하고 보물로 따로 지정되었다. 안채는 양통집으로 오량가..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7
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사랑채 대동운부군옥의 산실 - 예천 권씨 초간종택 사랑채 낮은 뒷동산을 배경삼아 경사진 곳에 동남향으로 자리잡은 조선 전기의 기와집이다. 현 소유자의 13대조 때 지은 것으로 임진왜란 이전의 건축이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조선 전기의 우수한 주택으로, 조선 시대 주택의 구조와 양식연구..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6
예천 남본동 개심사터 오층석탑 예천 남본동 개심사터 오층석탑 2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를 형성하고 그 정상에 상륜을 올려놓은 일반형 석탑으로, 원위치에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상·하층의 기단에 조식이 있고 탑신부를 받는 굄대도 연화대로 이루어져 일반형 탑과는 다른 특이한 면을 보이고 있으며,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5
예천 동본동 삼층석탑 예천 동본동 삼층석탑 탑의 전면에는 한천이 흐르고 있으며, 뒷면에는 흑응산이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탑과 불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절터였음이 분명하지만, 절 이름은 알 수 없다. 기단부(基壇部)는 윗층 기단 아래가 파묻혀 있어서, 원래 기단이 2층인지 1층이었는지 분명하지 않..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4
예천 동본동 석조여래입상 예천 동본동 석조여래입상 예천읍을 남쪽으로 흐르는 한천의 북안은 일대가 논인데 이 논 가운데 석탑 1기가 있고, 그 북쪽에 화강석으로 된 석조 여래 입상 1구가 있다. 예천군 예천읍 동본동 474의 3번지, (탑거리) 8각 연화대좌 위에 서쪽으로 안치된 이 여래상의 전체높이는 3.46m, 어깨 폭..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3
예천 학가산 보문사 삼층석탑 예천 학가산 보문사 삼층석탑 넓직한 자연 암반을 지대석(地臺石)으로 삼아 2층기단을 구성하고 있다. 하층기단의 각 면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하나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새겨져 있다. 하층기단 갑석(甲石)은 1매의 판석으로 구성되었는데, 상면은 평박하게 처리하였다. ..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2
예천 학가산 보문사 극락보전 예천 학가산 보문사 극락보전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의 앞쪽 기둥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으로 되어 있고, 뒤쪽 기둥은 새 날개 모양으로 장식한 익공 양..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9.01
예천 학가산 보문사 예천 학가산 보문사 「학가산 보문사 사적비」에 창건, 설화, 연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타나 있다. 학가산은 태백산맥 줄기 가운데 아름답고 덕성을 갖춘 영산이다. 천하의 신령함이 이곳에 모이고 상서로운 기운이 널리 펼쳐져 있음을 신라 문무왕 16년인 서기676년 의상대사가 발견.. ◈한국문화순례◈/영가문화권 201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