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범종 - 경주 굴불사터 청동범종 고려시대의 범종 - 경주 굴불사터 청동범종 고려 12~13세기 ▲청동범종 ▲용뉴 ▲용뉴 ▲용뉴 ▲비천상 ▲비천상 ▲유곽 ▲유곽 ▲당좌 <2016. 8. 2>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07
고려시대의 경주 - 경주읍성 출토 부조석상 고려시대의 경주 - 경주읍성 출토 부조석상 손에 주머니를 들고 뛰는 상 통일신라 8~9세기 신라 통일기에 만든 석조물을 경주읍성 축조에 재활용한 것으로 읍성 정비과정에서 발견되었다. 팔뚝 중간에 나팔꽃 모양의 소내가 달린 이옷을 입었고 그 위에 天衣를 걸쳤다. 하체에는 치마와 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06
제3의 이형석탑 - 경주 천관사터 팔각삼층석탑 옥개석 제3의 이형석탑 - 경주 천관사터 팔각삼층석탑 옥개석 천관사터는 도당산과 오릉 사이에 위치해 있다. 천관사터에 팔각삼층석탑이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불국사 다보탑 같은 이형탑이 천관사에 있었던 것이다. 사적 340호 천관사터에는 방형 기단부와 팔각 탑신석으로 구성된 석탑이 남..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05
첨성대, 석양에 물들다 첨성대, 석양에 물들다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석양의 첨성대 <2016. 7. 27>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04
경주 대곡리 근세선각마애불 경주 대곡리 근세선각마애불 대곡리 마을 동쪽 야산 중턱에 동서로 비스듬히 누워있는 바위 남쪽면에 최근에 조각한 것으로 보이는 선각마애불 한기가 있다. 그 생김새가 두 손을 왼편으로 들고 누군가를 안내하는 듯한 모습이다. 단석산의 신선사 마애불상군을 흉내낸 것이 분명해 보인..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6.08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두대리 마애삼존불입상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두대리 마애삼존불입상 대구에서 고속도로로 경주로 들어오다가 시내 경주 나들목 가까이 왔을 때 오른쪽에 있는 산이 벽도산(碧桃山)으로 높이는 424m이다. 이름 그대로 푸른 산이고 선도산과 같이 미남형의 산으로 전해지며 여성 산인 망산을 사이에 두고..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6.07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율동 마애열반상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율동 마애열반상 마애열반상(磨崖涅槃像)이란 석가모니나 불교의 유명 승려들이 속세를 떠나 내세로 입적(入寂)하는 모습을 나타낸 조각상이다. 불교계에서는 입적 당시 석가모니의 모습을 일반 승려와 달리 ‘입적’이란 용어 대신 입멸(入滅)이라고 표..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6.06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율동 선각마애불두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율동 선각마애불두 자세히 보지 않으면 거의 알아보기가 힘들만큼 선각으로 새겨진 마애불두이다. 조각을 하다 그만둔 미완성 불두로 보인다. ▲선각마애불두 ▲선각마애불두 ▲선각마애불두 ▲선각마애불두 ▲선각마애불두 <2016. 5. 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6.05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석불입상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석불입상 이 불상은 경주의 서쪽에 위치한 벽도산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린 능선에 있다. 벽도산은 서쪽에 위치하는 선도산과 더불어 서방을 이루는 중요한 산 가운데 하나이다. 불상의 광배는 배 모양으로 바위를 다듬었고 별다른 조각으로 장식하지는 않..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6.04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벽도산을 찾아서 - 경주 벽도산 건천읍과 율동에 걸쳐 벽도산(碧桃山)이 있다. 작고 푸른 복숭아나무가 많이 자생하는 산이라는 데서 그이름이 유래하였다.높이는 424m이다. 벽도는 벽도나무에서 피는 꽃으로 신선이 사는 곳에 있다는 전설상의 과실이다. 벽도산은 이름 그대로의 푸른산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