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들의 애환 - 경주 양남 수렴포봉표 백성들의 애환 - 경주 양남 수렴포봉표 延慶墓香 炭○○ 啓下 水念浦封標 辛卯十月 日 墓監 臣 金昌祜 監董 臣 李○喜 府○金夏鎔 吏 朴東潤 風憲 河學魯 봉표란 왕실에서 쓸 묘지 또는 중요한 물품이 생산되는 지역에 백성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봉금지역을 선정하고 이를 알리는 표시를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7.07.24
경주 함월산 기림사 매월당 영당 경주 함월산 기림사 매월당 영당 매월당 영당은 생육신의 한 사람인 매월당 김시습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본래의 영당은 현종 11년(1670) 경주부사 민주면이 선생의 뜻을 추모하기 위해 선생이 은거하였던 용장사 경내에 오산사를 지었으나 고종 5년(1868)에 훼철되었다. 고종 15년(1878) 이를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11.08
백성들의 애환 - 경주 불령봉표 백성들의 애환 - 경주 불령봉표 延慶墓香 炭山因 啓下 佛嶺封標 辛卯十月 日 墓監 臣 金昌祜 監董 臣 李命喜 봉표란 왕실에서 쓸 묘지 또는 중요한 물품이 생산되는 지역에 백성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봉금지역을 선정하고 이를 알리는 표시를 말한다. 주로 나무를 베지 못하도록 하거나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11.02
경주 함월산 기림사 목탑터 경주 함월산 기림사 목탑터 기림사 약사전 앞 마당는 목탑의 흔적이 남아있다. 한 변의 길이가 약 14m, 높이가 약 0.5m 되는 토단 위에 가로세로 각 4개씩 모두 16개의 초석이 남아있어 탑의 크기가 전면 3칸, 측면 3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중앙부에는 심초석이 그대로 남아 있고 심초석에는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11.01
경주 영장류공춘호청덕거사비 경주 영장류공춘호청덕거사비 營將柳公春浩淸德去思碑 惠懷屛翰 操潔氷玉 撫卒惠普 愛民恩篤 一規淸愼 萬姓歌頌 片珉不磷 氷寓釿誦 영장으로서 베푸신 은혜 지조는 빙옥처럼 맑았네. 군사를 어루만지며 널리 사랑했고 백성을 사랑하며 두터이 보살폈네. 한 법도를 청렴하게 행..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10.17
경주 영장류공춘호영세불망비 경주 영장류공춘호영세불망비 營將柳公春浩永世不忘碑 斂此大惠 雄鎭一麾 裘帶多暇 氷蘗自持 口碑濫境 頂鄕載路 勒諸翁仲 寔出衆籲 조세 거둠에 큰 은혜를 베푸심은 雄鎭의 한 영장이셨네. 軍政의 빠쁘신 여가에도 氷玉의 마음을 가지셨다. 칭송은 온 고을에 자자하여 향기로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10.16
신라의 쌍귀부 - 경주 숭복사 귀부 신라의 쌍귀부 - 경주 숭복사 귀부 이 귀부는 경주 외동읍 말방리의 숭복사터에서 옮겨온 것이다. 머리는 용의 형상이나 등에는 두 겹의 귀갑문이 새져져 있며, 짤막한 목에는 구슬 목걸이가 걸려 있다. 잔등 위에는 큼직한 비석받침을 마련하고 그 위에 별도로 만든 비석 받침대를 올려놓..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30
사천왕상부조탑신석 - 경주 읍성 출토 석탑재 사천왕상부조탑신석 - 경주 읍성 출토 석탑재 통일신라 8세기 옆에 있는 석탑재 몸돌에 새겨진 사천왕상과 조각수법이 비슷하여 쌍탑이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것이다. 통일신라 조각에서 사천왕상은 대개 손에 보탑을 든 다문천이 북쪽이 되기 때문에 그 나머지 세 면의 바위를 미루어 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29
사천왕상부조탑신석 - 경주 읍성 출토 석탑재 사천왕상부조탑신석 - 경주 읍성 출토 석탑재 통일신라 8세기 석탑의 1층 몸돌로 보이는 이 석탑 부재는 불교에서 사방을 수호하고 불법을 지키는 하늘의 신인 사천왕이 네 면에 새겨져 있다. 사천왕은 갑옷을 입고 악귀를 밟고 서 있는 위협적인 모습을 하고 잇으며 마치 살아있는 듯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28
불상부조탑신석 - 경주 석탑재 불상부조탑신석 - 경주 석탑재 통일신라 9세기 통일신라 후기에는 석탑의 표면에 부처, 보살, 신중을 비롯하여 다양한 상들이 새겨졌다. 이 조각상들은 석탑의 내부에 모셔진 불사리를 장엄하여 예배대상으로서의 탑의 성격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1층 몸돌에 새겨지는 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