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순례 -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여래입상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여래입상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마애불상(磨崖佛像)은 2007년 5월 바로 옆의 석불좌상(石佛坐像)의 복원정비사업과 관련한 발굴조사 중 발견되었다. 아마도 같은 경역 내에 있어 석불좌상과 더불어 경배대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1.12
호국사찰 사천왕사 - 녹유신장상벽전 호국사찰 사천왕사 - 녹유신장상벽전 녹유신장상벽전 C형 녹유신장상벽전 C형의 주상 얼굴모습은 둥근 감실 속에서 작은 비늘모양의 소찰(小札)로 구성된 엉성한 투구를 머리에 착용하고, 크게 부릅뜬 두 눈과 넓게 퍼진 큰 코를 가진 화난 얼굴로 좌측면을 노려보는 아주 험상궂은 인상..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1.11
호국사찰 사천왕사 - 녹유신장상벽전 호국사찰 사천왕사 - 녹유신장상벽전 녹유신장상벽전 B형 녹유신장상 B형은 정면을 응시하고, 왼손에 활, 오른손에 화살을 들고 있다. 사천왕사(四天王寺) 동ㆍ서 목탑터 기단부에서 출토된 녹유전에 새긴 상(像)의 정체에 대하여 강우방의 사천왕상설(四天王像說)과 문명대의 팔부신중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1.10
호국사찰 사천왕사 - 녹유신장상벽전 호국사찰 사천왕사 - 녹유신장상벽전 A형 신장상벽전 사천왕사 목탑 기단에 장엄된 녹유신장벽전은 동서목탑 기단부 네 면에 모두 24점(동서 목탑 총 48구)이 배치되었으며 종류는 3가지(ABC형)로 분류할 수 있다. 각 벽전은 목탑 중앙계단을 기준으로 왼쪽에 3점, 오른쪽에 3점, 기단 한 면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6.01.09
경주 구서경사 경주 구서경사 경주시 서부동의 주택가 가운데에 남아있는 이 건물은 1932년경 일본에서 건축자재를 가져와 일본 전통불교 건축양식으로 세운 건물이다. 서경사는 일본불교 정토진종의 경주포교소로 해방전에는 신자의 대부분이 경주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이었다고 한다. 그 이후에는 농..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5.11.17
경주부 동부동 은행나무 경주부 동부동 은행나무 관아건물 뒤편에 500년된 은행나무가 있다. 동부동 은행나무이다. 말 없이 경주의 수많은 역사를 지켜보았을 것이다. 높이 약 19m, 수관 폭 20m로 생육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경주부 관아를 지을 당시 심은 것으로 추정한다. 이곳에서는 해마다 가을이면 은행..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5.11.16
경주부 관아 경주부 관아 현재 경주문화원 건물로 사용하는 이곳은 조선시대 경주부 관아의 내아가 있던 곳이다. 내아는 관아의 살림집을 말하며 외아인 동헌은 바로 왼쪽에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이 이곳에 있었다. 정면에 보이는 향토사료관 건물은 정면 8칸, 측면 4칸..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5.11.15
경주 동경관 경주 동경관 동경관은 원래 신라 왕실에서 사용하던 집기 등을 보관하던 곳이다.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외국 손님이나 중앙 관리들이 경주지방을 방문하였을 때 머물거나 대기하던 객사로 이용되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조선 정조 10년(1786)경에 다시 지은 것으로 일부만 남아 있다. 3동(..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5.11.14
경주읍성 경주읍성 경주는 통일신라시대 이후 지방통치의 중심지였다. 고려시대에는 동경유수관(東京留守館)이, 조선시대에는 경주부아(慶州府衙)가 경주읍성(慶州邑城) 내에 있었다. 경주읍성은 1012년(고려 현종 3)에 축성되었으며, 1378년(고려 우왕 4)에 개축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임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5.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