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329

경산 임당동 출토 독널무덤(甕棺墓)

경산 임당동 출토 독널무덤(甕棺墓) <국립대구박물관> 독널무덤은 주검이나 뼈를 독(甕)이나 항아리(短頸壺) 안에 넣어 땅을 파고 구덩이(土壙)를 만들거나 독을 넣을 만큼 적당히 파서 묻는 무덤을 말하는데 독장이나 옹관묘라고도 한다. 이러한 무덤은 일찍부터 세계 각지에서 만들어져 온 것으..

대구 팔달동 출토 꾸미개(裝身具)

대구 신천동 출토 꾸미개(裝身具) <국립대구박물관> 꾸미개는 사람의 몸을 치장하기 위한 물건으로 구석기시대부터 여러가지 형태로 만들어졌다. 삼국시대 초기의 꾸미개로는 금, 은제품은 아직 보이지 않으며, 수정(水晶), 마노(瑪瑙), 호박(琥珀) 및 유리제품의 구슬이 주로 무덤에서 출토되지만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출토 선각사방불금동사리함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출토 선각사방불금동사리함 <국립대구박물관> 신라 제48대 경문왕 3년(863)에 44대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위해 세운 비로암 삼층석탑을 1967년에 해체 복원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유물이다. 동서남북 사방에 삼존불좌상 형식의 사방불을 새겼다. 사방불(四方佛)은 사방 정..

대구 동화사 금당암 서삼층석탑 출토 납석소탑(蠟石小塔)

대구 동화사 금당암 서삼층석탑 출토 납석소탑(蠟石小塔) <국립대구박물관> 1957년 동화사 금당암 서삼층석탑을 해체보수할 때 1층탑신 뒷면의 사리공 안에서 99개의 납석소탑이 발견되었다. 이처럼 납석소탑을 만들어 실제 탑에 봉안하는 일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라는 불..

달성 현풍 출토 말모양토기(馬形土器)

달성 현풍 출토 말모양토기(馬形土器) <국립대구박물관> 오리나 말 등의 동물형토기는 주로 전기의 가야지방에서 발생한 듯하다. 동물모양의 토기는 대부분 신라, 가야지역에서 5, 6세기경 회청색경질토기로 만들어졌다. 오리를 비롯하여 말, 거북 등의 동물형 토기는 각기 동물의 숭배신앙과 결..

경산 임당동 출토 그릇받침(筒形器臺)과 항아리(短頸壺)

경산 임당동 출토 그릇받침(筒形器臺)과 항아리(短頸壺) <국립대구박물관> 그릇을 받치는 받침대로 기대, 감대(감臺)라고도 한다. 삼국시대 초기에 특히 경상도 지방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하였던 토기형식의 하나이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 이미 기대의 기형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고, 일본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