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호연정(浩然亭) 영천 호연정(浩然亭) 영천 시가지를 동에서 서로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의 북쪽 언덕배기에 호연정이 있다. 호연정은 조선시대 유학자이자 실학자였던 병와 이형상 선생이 말년에 기거하며 저술활동을 했던 곳이다. 현재 호연정에는 병와유고가 남아서 전하는데 병와유고는 조선 숙종 때의 국학자이..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2.23
영천 숭렬당(崇烈堂) 영천 숭렬당(崇烈堂) 숭렬당은 조선 세종 때의 무장인 이순몽 장군의 집으로 세종 15년(1433)에 중국식으로 지은 건물이다. 1970년 문화재로 지정된 뒤 복원공사를 한 건물로 지금은 장군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드리는 사당으로 쓰고 있다. 위양공 이순몽 장군은 세종 원년(1419) 쓰시마 정벌과 야인 토벌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2.22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 노석리 마애불상군은 통일신라 초기의 것으로 거대한 바위면에 얕게 돋을 새김한 것이다. 바위면의 중심에 본존불과 좌우협시보살 등 삼존불좌상 그리고 바로 오른쪽에 보다 작은 불좌상이 배치된 특이한 구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존불좌상은 큼직하고 높은 살상투, 둥글고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2.21
청도 호거산 사리암(邪離庵) 청도 호거산 사리암(邪離庵) 사리암은 운문사의 산내암자인데 간사할 사(邪)와 떠날 리(離)가 합쳐져 '삿(邪淫)된 것을 여의는 암자'라고 한다. 가파른 경사의 계단길을 한참 올라야 사리암에 닿는다. 소위 '기도발' 이 잘 먹기로 유명한 곳이 전국에 3곳이 있다. 이 소문난 기도처가 경남 남해 보리암과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2.16
청도 운문사 금당 석등 청도 운문사 금당 석등 운문사 대웅보전 남쪽 일반인 출입금지 지역에 금당이 있다. 금당이라 편액하였지만 부처님을 모신 불전은 아니고 스님들이 생활하는 요사이다. 이 금당 앞에 보물로 지정된 석등이 있으니 이를 금당 석등이라 부른다. 이 석등을 보려면 스님의 특별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일반..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2.15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신라시대에 창건된 운문사는 여러차례 중창을 거쳤는데 현재의 가람은 조선 숙종 44년(1718)에 있었던 네번째의 중창 때의 것이다. 대웅보전도 이때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기둥 간격을 넓게 잡아 칸수에 비하여 큰 규모의 건물이 되었다. 다포계..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2.14
대구 동화사 전래 곱돌사리구(蠟石製舍利具) 대구 동화사 전래 곱돌사리구(蠟石製舍利具) <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곱돌소탑(蠟石製小塔, 통일신라 9세기) *곱돌사리호(蠟石製舍利壺, 통일신라 9세기) <2007. 8. 2>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1.27
대구 출토 은입사정병(銀入絲淨甁) 대구 출토 은입사정병(銀入絲淨甁) <국립경주박물관> 정병은 물을 담는 물병의 하나지만, 형태가 독특하고 관음보살이 지니는 지물로 정착해서 따로 정병이라고 부른다. 이 정병은 산스크리트 ‘쿤디카(Kun·d·ika-)’의 뜻을 새겨 번역한 말이며, 그냥 소리나는 대로 적어 군지(軍持)라고 표기하기..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1.27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청도 박곡리 석조여래좌상 이 불상은 높이 276cm의 석조석가여래좌상으로 대비사 골짜기 입구의 보호각 속에 모셔져 있다. 몇 차례의 화재와 인위적인 파손으로 원래의 모습을 잃었으나 지금의 모습으로도 예술적 안목과 세련된 솜씨를 느낄 수 있다. 얼굴의 구체적인 모습은 알 수 없으나이 불상은 풍..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5.29
청도 대비사(大悲寺) 대웅전 청도 대비사(大悲寺) 대웅전 신라 진흥왕 18년(557)에 한 신승이 호거산에 들어가 3년동안 수도 후 560년(진흥왕 21)부터 절을 짓기 시작하여 7년동안 5갑사를 완성하였다. 5갑사는 중앙의 대작갑사(지금의 운문사)를 중심으로 동의 가슬갑사, 서의 소작갑사 또는 대비갑사, 남의 천문갑사, 북의 소보갑사가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