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만촌동 출토 칼집붙이(劍硝附屬具) 대구 만촌동 출토 칼집붙이(劍硝附屬具) <국립대구박물관> *칼집붙이(劍硝部屬具, 초기철기시대) <2007. 1. 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5
대구 만촌동 출토 한국식동검 대구 만촌동 출토 한국식동검 <국립대구박물관> *한국식동검(초기철기시대) <2007. 1. 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5
청도 예전리 출토 요녕식 동검(遼寧式銅劍) 청도 예전리 출토 요녕식 동검(遼寧式銅劍) <국립경주박물관> 요녕식동검은 이른 청동기시대의 무기 가운데 하나인데 생김새가 중국의 고대악기인 비파를 닮았다고 하여 비파형동검이라고도 부른다. 전체길이는 30~40cm가 대부분이다. 출토지역과 생김새에 따라 요녕식동검·만주식동검·부여식..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4
대구 평리동 출토 꺽창집부속구(戈硝附屬具) 대구 평리동 출토 꺽창집부속구(戈硝附屬具) <국립대구박물관> *꺽창집부속구(초기철기시대) <2007. 3. 24>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4
대구 신천동 출토 꺽창(銅戈) 대구 신천동 출토 꺽창(銅戈) <국립대구박물관> 꺽창은 긴자루를 창몸(戈身)과 직각이 되도록 옆으로 끼워 사용하는 무기의 하나로 찍거나 베어당기는데 쓰인다. 중국에서는 원래 차전(車戰)에 쓰이는 것으로 피홈(血溝)이 없는 형식이며 T자 형태가 기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꺽창은 피홈이 있..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3
대구 신천동 출토 투겁창(銅矛) 대구 신천동 출토 투겁창(銅矛) <국립대구박물관> 투겁창은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 한국식 청동기문화가 발전하던 시기에 사용된 근거리 무기이다. 근거리 무기 가운데 대표적인 창류(槍類)는 돌창처럼 매우 이른 시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만들기 쉽고 던진다든가 손에 쥐고 적을 공..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2
경산 임당동 저습지 출토 국자(杓子) 경산 임당동 저습지 출토 국자(杓子) <국립대구박물관> *국자(杓子, 삼국시대) <2007. 1. 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1
경산 임당동 저습지 출토 나무신발(木履) 경산 임당동 저습지 출토 나무신발(木履) <국립대구박물관> *나무신발(木履, 삼국시대) <2007. 1. 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10
경산 임당동 저습지 출토 나무굽다리접시(木製高杯) 경산 임당동 저습지 출토 나무굽다리접시(木製高杯) <국립대구박물관> *나무굽다리접시(木製高杯, 삼국시대) <2007. 1. 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09
대구 시지동 출토 나무두레박 대구 시지동 출토 나무두레박 <국립대구박물관> *나무두레박(삼국시대) *나무두레박 옆면 <2006. 1. 5>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