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출토 철조여래좌상 포천 출토 철조여래좌상 <국립중앙박물관>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항마촉지인의 손갖춤을 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편견우견의 착의법, 무릎 앞의 부채꼴 주름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의 모습을 따르고 있으나, 허리가 길어진 부자연스러움 등으로 미루어 석굴암 본존불을..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1.06.25
남양주 수종사 출토 금동삼존불좌상(金銅三尊佛坐像) 남양주 수종사 출토 금동삼존불좌상(金銅三尊佛坐像) <국립중앙박물관> 남양주 운길산의 수종사는 조선 세조에 의해 크게 중창된 절이다. 이곳에 있는 오층석탑을 1957년에 해체했는데, 여기서 수많은 금동불이 발견되었다. 오층석탑 1층 탑신에서 발견된 금동 불감 안에는 석가모니불과 반가사유..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0.10.31
홍천 출토 금동불입상 홍천 출토 금동불입상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우견편단식의 대의와 오른쪽 상체를 덮는 별도의 옷을 입은 모습이며, 옷주름은 기본적으로 Y자형을 따르고 있다. 가슴 앞에서 비스듬히 드러난 속옷단에는 잔주름 장식을 간단히 새겼다. 가슴과 팔 윗부분 등에는 군데군데 주조 때 사용하였던 못..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9.04.17
홍천 괘석리 사사자삼층석탑 홍천 괘석리 사사자삼층석탑 이 탑은 홍천군 두촌면 괘석리에 있었으나 1969년 이곳으로 옮겨왔다. 하층 기단 면석 각 면에 2개의 안상을 새겼고, 상층기단 면석에 네 마리의 사자를 배치하여 석탑을 받치게 하였다. 몸돌 각 면에는 모서리 기둥을 새겼고, 지붕돌 받침은 모두 3단이다. 1층 몸돌만이 하나..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8.07.17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이 석탑은 1945년 이전까지는 상층 기단의 면석 이하가 땅 속에 묻히고, 3층 지붕돌이 없어진 상태에서 여러차례 이전, 보수하였기 때문에 지금의 형태가 원형인지는 알 수 없다. 보수 이전에는 3층 지붕돌이 없고 몸돌이 있었으나, 현재는 몸돌이 없고 지붕돌은 있다. 면석 모서리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8.07.17
홍천 수타사 범종 홍천 수타사 범종 몸통 밑부분에 조선 현종 11년(1670)에 만들었음을 알려주는 문구가 있어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조선시대 중기의 동종이다. 종의 몸통 윗 부분에는 인도의 옛 글자인 범자(梵字)를 새겼다. 그 아래에는 구름 위에 서서, 양손으로 길다란 염꽃 가지를 쥐고 있는 4구의 보살입상이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8.07.16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 수타사 소조사천왕상은 조선시대 중기에 만들어진 사천왕상인데, 크기는 각각 3m가 넘는다. 나무로 심을 만들어 새기줄로 감고, 그 위에 진흙을 발라 형태를 만들고 채색한 것이다. 머리 뒤쪽의 불꽃모양이나, 손에 들고 있는 각종 지물 등은 부분적으로 나무를 사용하였다.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8.07.16
홍천 공작산 수타사(孔雀山壽陀寺) 홍천 공작산 수타사(孔雀山壽陀寺) 공작산 수타사는 신라 성덕왕 7년(708)에 우적산(牛跡山) 아래에 일월사(日月寺)로 처음 지어진 것을 조선 선조 2년(1569) 현재의 위치인 공작산으로 옮기고 이름을 바꾸었다.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인해 절이 불타버리고 40여년간 폐허로 남아 있었는데, 인조 14년(1636) 공..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8.07.16
구리 동구릉 - ④건원릉(健元陵) 구리 동구릉 - ④건원릉(健元陵) 건원릉은 동구릉 내 9개 능 중 하나로,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1335∼1408)의 능이다. 태종 8년(1408년)에 조영된 건원릉은 기본적으로 고려 왕릉 중 가장 화려한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玄正陵)양식을 따랐다. 세부적으로는 석물의 배치와 장명 등의 조형에서 몇..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8.01.31
구리 동구릉 - ③목릉(穆陵) 구리 동구릉 - ③목릉(穆陵) 건원릉의 안쪽 동구릉에서 가장 깊숙한 골짜기에 자리한 목릉은 바로 앞에서 본 현릉과 마찬가지로 동원이강릉이다. 다만 현릉의 봉분은 2개인데 비해 목릉의 그것은 3개이다. 목릉은 조선 14대 임금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그리고 계비 인목왕후의 능이다. 홍살문을 들어서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8.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