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전곡리 아슐리안형 한면날찍개 연천 전곡리 아슐리안형 한면날찍개 아슐리안 도구로는 주먹도끼와 가로날도끼 이외에도 찍개와 격지도구가 있다. 격지도구는 거기서 떼낼 격지의 형태와 크기를 예측하여 미리 그 형태를 다듬은 몸돌[石核]에서 만들었고 새로 가공하지 않은 채 칼로 쓰거나, 가공해서 긁개나 새기개 등..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11
연천 전곡리 아슐리안형 가로날도끼 연천 전곡리 아슐리안형 가로날도끼 가로날도끼는 도끼와 같은 자르는 날을 만들기 위해 한 끝을 가로로 잘라버린 대형 도구이다.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와 초기형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의 석기제작 전통을 아슐리안 공작(Acheulian industry, ― 工作, Acheulean이라고도 쓴다)이라고 한다. 1..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10
연천 전곡리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연천 전곡리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주먹도끼(handaxe)는 구석기 시대의 많은 석기들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인류 진화에 관해서 그 어느 석기보다도 많은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기록물이다. 하나의 석기로써 여러 가지 기능을 하도록 고안되어 있어, 주먹도끼는 마치 현대의 ‘맥가이버..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9
연천 전곡리 구석기 선사유적지 연천 전곡리 구석기 선사유적지 구석기시대 유적을 둘러싸고 한탄강이 흐른다. 해발 40~50m 되는 곳에 있으며 1978년에 발견되었고, 1979~83년에 6차례, 그리고 1986, 1991년에 발굴되었다. 석기는 전곡현무암층 위에 쌓인 퇴적층에서 나온다. 칼륨-아르곤(K/Ar) 방법에 의한 절대연대측정에서 전곡..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8
연천 숭의전 고려 태조 어진 연천 숭의전 고려 태조 어진 고려의 제1대 왕(재위 918~943)으로 뛰어난 정치력과 덕망으로 고려왕조를 창건하고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이루었다. 이름은 왕건(王建). 자는 약천(若天). 송악(松嶽:개성) 출신이다. 아버지는 금성태수(金城太守) 융(隆)이고, 어머니는 한씨(韓氏)이다. 후삼국..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7
연천 숭의전 연천 숭의전 조선시대에 고려 태조·현종·문종·원종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사당으로 사적 제223호이다.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있는데 이것은 새 왕조를 연 다음 전 왕조 왕의 위패와 왕릉을 보존하는 것이 전통적인 예의였기 때문에 세워진 것이다. 1397년(태조 6) 귀의군(歸..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6
연천 백학지 호수설경 연천 백학지 호수설경 경순왕릉을 떠나 숭의전으로 가는 길에 백학저수지를 지나게 되었다. 백학지는 온통 눈으로 뒤덮힌 그야말로 설국이었다. 모두 차를 세우고 내려 저수지 안으로 들어갔다. 눈의 깊이는 약 15cm 정도 되어 보였고 눈 아래에는 두꺼운 얼음이 얼어 있었다. 모두들 어린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5
신라왕릉 가는 길 - 연천 신라 경순왕릉 신라왕릉 가는 길 - 연천 신라 경순왕릉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의 고랑포 나루터 뒤편 남방한계선과 인접한 나지막한 구릉에 사적 제244호로 지정된 경순왕릉이 있다. 신라의 왕릉 가운데에서 유일하게 경주를 벗어나 있는 능이다. 경순왕은 신라 마지막 제56대 왕(재위 927-935)으로..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4
철원 한탄강 승일교 철원 한탄강 승일교 한탄강은 북한의 강원도 평강군 장암산 남쪽 계곡에서 발원해 휴전선을 넘어 철원군을 지나 포천시와 연천군을 거쳐 서해로 흘러들어간다. 길이는 141km 가량. 철원군을 지나는 한탄강은 양쪽 강변이 수직단애로 이루어진 깊은 절벽 아래를 흐른다. 이곳에 이같은 협곡..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3
철원 노동당사 철원 노동당사 구 조선노동당 철원당사(鐵原 勞動黨舍)는 대한민국 등록문화재 22호다. 철원군은 6.25 이전에 강원도의 도청이 잠시 소재했으며 구철원은 철원군의 행정중심지였다. 이때 철원읍 관전리에 조선로동당에서 건물을 지었다. 한국전쟁을 거치며 구철원은 대한민국에 귀속되었..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