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신라말에서 고려초에는 철로 만든 불상이 크게 유행했는데,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그 대표적인 예로,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臺座)까지도 철로 만든 보기 드문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갸름한 얼굴은..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2.01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도피안사(倒彼岸寺)는 신라 경문왕 5년(865) 도선국사가 높이 91cm의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주조하여, 철원읍 율리리에 소재한 안양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가다가 잠시 쉬고 있을 때 불상이 갑자기 없어져 그 부근 일대를 찾다가 현위치에 그 불상이 안좌한 자세로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31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릉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정희왕후릉 광릉은 세조와 정희왕후가 묻혀 있는 동원이강릉으로 특이하다. 정자각을 사이에 두고 두 능상이 솟아 있다. 풍수지리적으로 이런 능을 유두혈(乳頭穴)이라 하는 명당이다. 유두혈이란 대지를 어머니로 보고 그 어머니의 젖이 나오는 꼭지에 해당..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30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세조대왕릉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세조대왕릉 광릉은 조선왕릉 최초의 동원이강릉이다. 문종의 현릉도 동원이강릉이지만 광릉의 조영시기가 이보다 앞선다. 동원이강릉은 정자각을 기준으로 두 개의 다른 사초지 언덕(岡)을 좌우로 조성하여 왕과 왕후가 각각의 언덕에 모셔져 있는 능침형식..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29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정자각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정자각 조선왕릉의 공간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된다. 제례를 준비하는 재실부터 홍살문까지의 '진입공간', 정자각 까지의 '제향ㆍ전이공간', 그리고 봉분까지의 '능침공간'이 그것이다. 왕릉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봉분 앞에 ‘丁’ 자 모양으로 지었던 집을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28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홍살문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홍살문 홍살문(紅箭門 또는 紅門)은 陵․園․墓 등의 正面 앞에 세운 붉은 칠을 한 門으로 위에 홍살을 꾸민 것을 말한다. 기둥을 양쪽에 세우고 위에 心傍(大門 따위의 양쪽 기둥에 건너지른 인방引枋)과 띳장을 건너지르고 가는 살을 5 ~ 8치 간격으로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27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금천교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금천교 왕릉은 궁궐과 마찬가지로 바깥세상과 분리해 주는 하천인 금천이 흐르며, 입구에는 작은 돌다리인 금천교가 있다. 능(陵)앞을 흐르는 개울을 흔히 높여서 어구(御溝) 또는 금천(禁川)이라 부르고 여기에 놓인 다리를 금천교라 하며, 능역의 수계가 맞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26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하마비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하마비 재실을 보고 나오면 오른편에 하마비가 서 있다. 하마비가 서 있으면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이다. 하마비의 한편이나 뒤쪽을 보면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고 적혀있다. 여기서 대(大)는 고급관..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25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재실 광릉을 찾아서 - 남양주 광릉 재실 광릉은 조선 7대 임금인 세조(재위 1455∼1468)와 왕비 정희왕후 윤씨(1418~1483)의 무덤이다. 석실과 석곽을 사용하지 말고 병풍석을 세우지 말라는 세조의 유언에 따라 능 안에 석실을 만들지 않고 회격(관을 구덩이 속에 내려놓고 그 사이를 석회로 메워서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3.01.24
양주 대모산성 출토 도장(銅印) 양주 대모산성 출토 도장(銅印) <국립경주박물관특별전> 통일신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도장(銅印) <2012. 1. 6>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2.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