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교동 출토 돌화살촉(石鏃) 춘천 교동 출토 돌화살촉(石鏃) <국립춘천박물관> *돌화살촉(石鏃, 신석기시대) <2007. 5. 20>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24
춘천 교동 출토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춘천 교동 출토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국립춘천박물관> 강원도 춘천시 교동에 있는 신석기시대 동굴유적으로 1963년 봉의산(鳳儀山) 동쪽 경사면에서 공사 도중 매몰된 동굴을 발견했는데, 그 안에서 사람뼈와 함께 석기·토기 등이 나왔다. 이 굴은 풍화된 화강암반을 인공으로 파 만든 것으로..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24
홍천 물걸리절터 금동여래입상 홍천 물걸리절터 금동여래입상 <국립춘천박물관> *금동여래입상(삼국시대 7세기) <2007. 5. 20>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6
양구 상무룡리 출토 주먹대패 양구 상무룡리 출토 주먹대패 <Plane, 양구선사박물관> 두께가 두꺼운 판석을 석재로 사용하여 한쪽 방향으로 수직 혹은 방사상박리를 가해 60~90˚의 가파른 날을 조성한 석기이다. 따라서 바닥은 평평하고 날은 가파르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 석기의 날은 주로 가로 직선날이..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3
양구 상무룡리 출토 격지 양구 상무룡리 출토 격지 <Flake, 양구선사박물관> 격지는 날을 갖춘 잔손질석기를 만들기 위해 몸돌에서 의도적으로 떼어 낸 돌조각으로서, 의도되지 않게 떨어진 부산물인 조각돌과의 구분이 가능하다. 즉 보통 격지에는 망치돌과 부딪쳐 생긴 맞은점, 망치돌과 부딪친 힘의 전달로 인해 생긴 볼..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3
양구 상무룡리 출토 돌망치 양구 상무룡리 출토 돌망치 <Hammer stone, 양구선사박물관> 납작한 석영 자갈돌을 동그랗게 다듬어 만들었다. 둘레에 밑 ·등잔손질을 엇갈림으로 하여 동그랗게 만들었는데 날을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고 다른 연모를 만들때 공구로 사용되었던 것 같다. 예리한 잔손질이 필요한 날 다듬기에 사용되..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3
양구 상무룡리 출토 새기개 양구 상무룡리 출토 새기개 <Graver, 양구선사박물관> 나무나 뿔, 뼈를 자르거나 무늬 등을 새기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 석기는 기능적으로는 새기기용 칼의 용도로도 사용되지만 주로 이 석기를 손잡이에 고정시킬 때 어떻게 날의 방향을 설정하느냐에 따라 그 기능적인 측면이 달라진다. 대개 중..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3
양구 상무룡리 출토 홈날 양구 상무룡리 출토 홈날 <Notched tool, 양구선사박물관> 돌날이나 격지의 옆날에 오목한 홈을 만들고, 이를 날로써 이용할 수 있도록 잔손질한 석기로서 홈날이 여러 개 연속되어 만들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이 홈날은 구석기시대 전반에 걸쳐 이용되는 석기이다. 홈날의 형태에서 나무나 뼈, 뿔 등..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3
양구 상무룡리 출토 톱날 양구 상무룡리 출토 톱날 <Denticulated tool, 양구선사박물관> 별도끼로도 불리는데 전체의 모습이 별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운데 구멍이 있고, 용도는 바퀴날도끼와 비슷한 전투용 또는 지도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지휘용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7. 5. 20>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3
양구 상무룡리 출토 뚜르개 양구 상무룡리 출토 뚜르개 <Awl, 양구선사박물관> 돌날이나 작은 격지의 일부분, 혹은 적당한 조각돌에 뾰족한 끝을 만들어 구멍을 뚫는 데 사용한 석기이다. 격지 혹은 적당한 조각돌을 재료로 이용한다. 잡이쪽에서 비롯된 3개 능선의 연장선이 한 점에 모여 날카로운 뾰족끝을 이루는 원리를 이..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07.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