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보광사 지장전 반야용선도 파주 보광사 지장전 반야용선도 반야용선도는 미타불과 그 권속이 왕생자를 용선으로 표현한 반야선에 태워 서방정토로 인도해가는 모습을 그린 도상이다. 용선은 선수(船首)나 선미(船尾), 혹은 배 전체를 살아있거나 조각한 용의 머리나 꼬리 혹은 용의 전신 모양으로 표현한 것이다.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7.07.09
파주 보광사 어실각 편액 · 향나무 파주 보광사 어실각 편액 · 향나무 대웅보전 오른편 위쪽에 정면, 측면 1칸 사모지붕 건물로 영조의 생모인 숙빈최씨(淑嬪崔氏)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하지만 어실각은 보수공사를 위해 해체한 상태였고 편액 만이 근처에 놓여 있었다. 어실각은 1740년(영조 16) 보광사를 숙빈 최씨의 묘..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7.07.08
파주 보광사 만세루 목어 파주 보광사 만세루 목어 만세루는 정면 9칸에 승방이 딸려 있으며 본래 누각이었다. 지금은 만세루라 부르지만 건물 앞에 걸려 있는 편액에 ‘염불당중수시시주안부록(念佛堂重修時施主案付祿)’이라 적혀있어 ‘염불당’으로 불렸음을 알 수 있고, 1898년(광무2년)궁궐의 상궁 등이 시..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7.07.07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 보물 제93호. 높이 17.4m. 거대한 자연암벽을 그대로 불신으로 이용하고 그 위에 머리부분을 따로 조각하여 얹어놓은 특이한 형식의 불상이다. 현재 바위는 여러 곳이 갈라져 있으며 가장 오른쪽에 있는 작은 동자상(童子像)은 이 암벽 아래에 있는 7층석탑과 함께 1953..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7.07.06
조선왕릉 서삼릉 - 고양 희릉 조선왕릉 서삼릉 - 고양 희릉 희릉은 서삼릉에서 가장 먼저 조성된 능이다. 중종의 제1계비 장경왕후는 중종 10년(1515)朝鮮國에 승하하여 대모산의 헌릉(태종 왕릉) 서쪽 언덕에 희릉을 조영했으나, 그로부터 22년 뒤인 중종 32년(1537) 현재의 서삼릉으로 천릉하였다. 章敬王后禧陵 宣昭懿淑..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4.03.28
조선왕릉 서삼릉 - 고양 예릉 조선왕릉 서삼릉 - 고양 예릉 예릉은 조선 25대 철종과 왕비 철인왕후 김씨(1837~1878)의 능이다. 철종은 전계대원군 광의 셋째 아들로 순조 31년(1831)에 태어났다. 헌종이 재위 15년 만에 돌아가시자, 그 이듬해 대왕대비인 순조의 비 순원왕후 김씨가 강화도에 살고 있던 철종을 불러들여, 19세..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4.03.27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익릉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익릉 익릉은 조선 19대 숙종의 원비 인경왕후 김씨의 능이다. 인경왕후는 광성부원군 김만기의 딸로 현종 12년(1671)에 세자빈이 되었으며, 숙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왕비가 되었다. 숙종 6년에 경희궁 회상전에서 20세에 돌아가셨다. 인경왕후는 고조부가 김장생이고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4.03.26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명릉 인원왕후릉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명릉 인원왕후릉 숙종대왕릉의 오른쪽 언덕에 제2계비인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 자리하고 있다. 인원왕후 김씨(1687~1747) 는 경은부원군 김주신의 딸로 숙종 28년(1702)에 왕비가 되었고, 영조 33년(1735)에 71세로 돌아가셨다. 그런데 조선왕릉의 오른족은 우상좌하의 원..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4.03.25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명릉 숙종대왕릉·인현왕후릉 조선왕릉 서오릉 - 고양 명릉 숙종대왕릉·인현왕후릉 명릉은 조선 19대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민씨, 그리고 제2계비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숙종과 인현왕후는 나란히 자리한 쌍분으로 쓰고, 인원왕후의 능은 다른 편 언덕에 단릉 형식으로 모셔져 동원이강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숙종..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4.03.24
고양 벽제관터 고양 벽제관터 이곳은 조선시대 역관(驛館)터로서 중국을 오가던 고관들이 머물던 곳이다. 조선시대에는 한양에서 중국으로 통하는 관서로에 역관이 10여군데 있었는데, 한양에 들어가기 하루 전에 반드시 이곳 벽제관에서 숙박하고 다음 날 예의를 갖추어 들어가는 것이 관례였다. 또한 .. ◈한국문화순례◈/한북문화권 2014.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