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번암 초상화 시복본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번암 초상화 시복본 1791년 / 비단에 채색 / 176.5*90.2cm 1791년에 그려진 채제공의 73세 때 초상화 화사 이명기李命基가 정조의 명을 받아 그렸다. 채제공초상 시복본은 채제공(蔡濟恭) 73세상으로 사모에 관대를 한 옅은 분홍색의 관복 차림에 손부채와 향낭을 들..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2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번암 초상화 초본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번암 초상화 초본 채제공의 72세 때 초상화 유지 초본 1790년 / 필사본 / 73.0*47.0cm 좌측에 '신해년 봄에 이명기李命基가 그렸다'고 적혀 있다. 보통 비단에 배채 기법을 사용하면 비단 올 사이로 색채가 드러나 보이게 되는데 종이 초본의 경우에는 기름을 먹여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2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번암 초상화 초본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번암 초상화 초본 채제공의 65세 때 초상화 유지 초본 1783년 / 필사본 / 73.0*47.0cm '초본(草本)'이란 초상화 제작의 시작 단계에서 처음으로 인물을 묘사하는 밑그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초본이라 하면 대강 그린 것으로 예상하기 쉽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2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정조대왕필국화도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정조대왕필국화도 18세기 후반 종이에 수묵 86.5*51.3cm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복제본) 오른쪽 위에 정조의 호인 '만천명월주인옹萬川明月主人翁' 낙관이 있다. 이 국화그림과 파초그림은 쌍폭으로 추정된다. ▲국화도 <2013. 4. 27>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1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정조대왕필파초도 정조의 꿈 - 수원 화성박물관 정조대왕필파초도 18세기 후반 종이에 수묵 84.2*51.3cm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복제본) 왼쪽 위에 정조의 호인 '홍재弘齋' 낙관이 있다. 이 파초그림은 시화와 학문을 사랑한 정조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다. ▲파초도 <2013. 4. 27>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1
정조의 꿈 - 수원 화령전 전사청ㆍ제정ㆍ풍화당 정조의 꿈 - 수원 화령전 전사청ㆍ제정ㆍ풍화당 운한각을 마주보고 좌측으로 담 너머에 있는 전각이 있다. 작은 일각문으로 들어서면 전사청이다. 전사청은 운한각에서 정조를 위한 제향을 준비할 때, 각종 제물을 마련하는 곳이기도 하다. 전사청은 한편 마루가 돌출이 된 형태로 지어졌..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0
정조의 꿈 - 수원 화령전 운한각ㆍ이안청 정조의 꿈 - 수원 화령전 운한각ㆍ이안청 화령전은 1800년 6월 28일 정조가 승하한 후 정조의 어진을 봉안하기 위해 만든 어진봉안각이다. 정조의 초상화는 평생 세차례 그려졌는데 화령전에는 군복입은 초상화를 모셨다. 화령전은 화성에서 화자를 따고 사서삼경의 하나인 시경에서 돌아..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0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낙남헌ㆍ노래당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낙남헌ㆍ노래당 낙남헌은 봉수당 북쪽에 있던 ㄱ자 건물인데 지금은 꺾인 부분이 잘리어 없어지고 一자형의 건물로 바뀌었다. 기단은 기둥돌과 장대석을 사용하여 틀을 만들고 내부에 벽돌을 채워넣은 특이한 형식이다. 낙남헌은 일제때 화성 행궁이 철거될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09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외정리소ㆍ비장청ㆍ서리청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외정리소ㆍ비장청ㆍ서리청 정리소는 1795년을묘원행에서 펼쳐질 각종행사를준비하기 위해 1794년 12월에 설치한 임시기관이었는데, 화성성역이 끝난 후 외정리소라 하여 정조를 비롯한 역대임금이 행차할 때 화성행궁에서의 행사준비를 담당하는관청이 되었다...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08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유여택ㆍ복내당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유여택ㆍ복내당 유여택은 평상시에는 화성유수가 거처하는 곳으로 쓰이다가, 임금이 행차하게 되면 잠시 머무르며 신하를 접견하는 곳으로 이용되던 건물이다. 1795년 행차 때 정조는 이 건물에서 각종 행사에 대한 보고를 받고 하교를 내렸다. 원래 이 건물은 1..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