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일치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일치 '치雉'란 일정한 거리마다 성곽에서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시설이다. 성벽 가까이에 접근하는 적군을 쉽게 공격하고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화성에는 10개의 치가 있다. 치는 꿩을 의미하는데 꿩이 자기 몸은 잘 숨기고 밖을 엿보기를 잘하기 때문..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21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일포루舖樓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일포루舖樓 포루舖樓는 성벽의 일부를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치성 위에 지은 목조건물이며 군사들이 망을 보면서 대기하는 곳이다. 동북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하나로 정조 20년(1796) 7월 10일 완공되었다. ▲동일포루 ▲동일포루 ▲동일포루 ▲동..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21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창룡문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창룡문 창룡문蒼龍門은 화성의 동문이다. 돌로 쌓은 홍예문 위에 단층문루를 세우고 밖으로는 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한쪽이 열려 있는 옹성을 쌓은 구조로 되어있다. 1794년에 정조대왕의 명으로 성곽과 같이 착공했으며 1796년에 다른 시설물과 같이 완성되었다.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20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북노대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북노대 노대(弩臺)는 성 가운데 다연발 활인 쇠뇌를 쏘기 위하여 높게 지은 것으로서 화성에는 서노대와 동북노대 두 곳이 있다. 동북노대는 창룡문과 동북공심돈 중간에 동북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반달 모양의 담장으로 보호하고 있다. ▲동북노대 ▲동북노..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20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북공심돈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북공심돈 공심돈空心墩은 조선시대 성곽에서는 유일하게 화성에만 있는 시설이다. 그 원형은 중국의 병서 '무비지'에 나와 있는데 그것을 화성의 지형조건에 맞추어 만든 것이다. 공심돈은 '속이 빈 돈대'라는 말 그대로 높은 망루 건물 안에 3층 구조를 두고 그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9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장대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장대 장대將臺란 성곽 일대를 한눈에 바라보며 화성에 머물던 장용외영 군사들을 지휘하던 장소이다. 화성에는 서장대와 동장대 두 곳이 있다. 동장대는 정조 19년(1795) 7월 15일 공사를 시작하여 8월 25일 완공되었다. 무예를 수련하는 공간이었기에 연무대鍊武臺..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9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암문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암문 암문은 성곽의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적이 알지 못하도록 만든 출입구이다. 사람이나 가축이 통과하고 군수품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화성의 5개 암문 중에서 동암문은 동북포루와 동장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화성에서 유일하게 벽돌로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9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북포루舖樓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동북포루舖樓 포루舖樓는 성벽의 일부를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치성 위에 지은 목조건물이며 군사들이 망을 보면서 대기하는 곳이다. 동북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 중 하나로 정조 20년(1796) 5월 15일 완공되었다. 이곳의 지형은 주변보다 높아서 동암문과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8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북암문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북암문 암문은 성곽의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적이 알지 못하도록 만든 출입구이다. 사람이나 가축이 통과하고 군수품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화성의 5개 암문 중에서 북암문은 방화수류정과 동북포루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화성에서 유일하게 벽돌..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8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방화수류정 정조의 꿈 - 수원 화성 방화수류정 각루角樓는 성곽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세워져 주변을 감시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건물이다. 동북각루는 화성의 동북쪽 모서리에 우뚝 솟아 있는 용암 바위 위에는 주변을 감시하고 경치를 즐길 수 있는 각루를 세워 방화수류정이라 이름지었다. 방..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