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장락당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장락당 장락당(長樂堂)은 1795년 을묘원행중 혜경궁의 침전으로서 정조 18년(1794) 화성성역 중에 완공되었으며, 봉수당의 남족에 자리잡아 봉수당의 서남쪽 지붕과 겹쳐 있으며, 동향으로 세워졌다. 장락당은 전한의 도읍인 장안성의 궁전이었던 장락궁에서 이름..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07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봉수당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봉수당 봉수당은 화성행궁의 정전이다. 본래 행궁에는 봉수당(당시는 장남헌)만 있었다. 이 건물은 축성이 시작되기 전 현륭원 전배 떄 정조가 머물던 곳이다. 평상시에는 수원유수부의 동헌으로 유수가 집무하던 곳이다. 정면 9칸의 대형건물이지만 월대는..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07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좌익문ㆍ중양문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좌익문ㆍ중양문 신풍루를 지나면 신풍루와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두 개의 중문이 나온다. 첫번째 중문은 좌익문(左翊門), 두번째는 중양문(中陽門)이다. 두 문의 주변은 모두 행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신풍루 앞에서 행궁의 정당인 봉수당 사이에는 네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06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신풍루 정조의 꿈 - 수원 화성행궁 신풍루 신풍루(新豊樓는 화성행궁의 정문으로 정조 14년인 1790년에 세운 2층 누문이다. 처음에는 6칸으로 괸 문을 세우고 화성 유수 조심태가 편액을 써서 진남루(鎭南樓)라고 하였다가 1795년 문의 이름을 신풍루로 고치고 조윤형으로 하여금 다시 편액을 쓰게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3.05.06
여주 고달사터 쌍사자석등 여주 고달사터 쌍사자석등 <국립중앙박물관> 고달사터 쌍사자 석등이 야외로 나왔다. 그동안 국립중앙박물관 1층 로비에 서 있던 쌍사자 석등이 박물관 남쪽 뜰 갈항사터 삼층석탑 맞은 편에서 햇빛을 받으며 서 있다. 일반적으로 쌍사자석등은 기본형석의 중대석인 8각 간주석 자리에 두 마리의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12.26
원주 천수사 삼층석탑 원주 천수사 삼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탑의 몸체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보이는 2층 기단형식이다. 탑신부 몸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1층과 2층 탑신 아래에는 굄돌이 놓여져 있다. 지붕 처마 층단받침은 4단으로 되어있고 지붕의 윗면은 경사가 완만하다. ..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12.25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 사리탑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 사리탑 <국립중앙박물관> 보제존자 나옹(懶翁 1320~1376)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고려 우왕 14년(1388)에 세운 승탑이다. 보통 승탑이 팔각 집 모양이거나 종 모양을 띠는 것에 비해 이 승탑은 특이하게 불탑과 같이 네모난 형태의 두 탑으로 이루어져 매우 이채롭다. 나옹의 사리를..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12.24
여주 신륵사 원구형석조부도 여주 신륵사 원구형석조부도 탑의 형태가 둥근 공모양을 하고 있어 원구형부도라고 불리운다. 현재 명문이 새겨져 있지 않아 어떤 스님의 탑인지 알 수 없다. 크기는 전체 높이가 220cm이고, 공 모양의 탑신은 60cm로 당시 조성되었던 부도들과 비슷하다. 이 부도는크게 위로부터 상륜부와 옥개석이 하나..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3.02
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석조부도 여주 신륵사 팔각원당형석조부도 이 부도는 고려말 조선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통일신라시대부터 유행한 팔각원당형을 이어받고 있다. 재질은 화강석이고 전체높이는 225cm이다. 원래 조사당 뒤 북쪽 구릉 너머에서 1966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 봉안하였다고 한다. 이 때 사리를 봉안한 사리..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3.02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등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 석등 신륵사 서북쪽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받침에는 표면 전체에 꽃무늬를 가득 새겨 장식하고 있다.화사석은 각 면에 무지개 모.. ◈한국문화순례◈/한남문화권 201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