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입상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입상 비중리 일광삼존불 앞에 세워진 석조여래입상은 불상 전체 높이가 144cm이며, 폭이 좁고 상하가 긴 기둥모양 화강암에 높게 부조하였다. 얼굴모양이 많이 파손된 상태로 이중의 두광이 표현되어 있고, 목에는 삼도가 없다. 법의는 타원형으로 층단을 이루며 흘러..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9.24
청주 비중리 일광삼존불 청주 비중리 일광삼존불 비중리 일광삼존불상은 하나의 돌에 광배(光背)와 삼존불을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다. 4부분으로 조각나 있던 것을 복원한 것인데, 본존(本尊)의 몸통과 머리부분이 분리되고 우협시보살상(右脇侍菩薩像)이 떨어져 나간 것을 수습하여 접합하였으나 좌협시보살..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9.23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淸州 上黨山城)은 삼국시대 백제가 쌓은 산성이다. 1970년 10월 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12호로 지정되었다. 상당산성은 둘레가 4.1km, 높이 2~4m, 면적이 704,609㎡에 달하는 포곡식 석축 산성이다. 상당산의 8부 능선에서 시작해 성내 골짜기를 감싸고 있는 동서 산..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9.22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월악산에 위치한 덕주사 법당지의 동쪽 암벽에 부조되어 있는 고려시대 마애불입상. 보물 제406호. 높이 13m. 거대한 마애불상의 양 어깨 위에는 목조전실이 있었던 가구공(架構孔)의 흔적이 남아 있다. 얼굴 부분은 약간 도드라지게 조각되었으나 두 손이나 신체..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7.13
제천 덕주사 약사여래 제천 덕주사 약사여래 충주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한수면 역리에서 1985년에 옮겨진 것으로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땅 속에 묻혀 있었는데, 어느 사람의 꿈에 나타나 발견되었으며 마을의 재해를 막고 아들을 점지해 주었다는 등 여러가지 영험담을 지니고 있다. 약사불의 온몸이 성한..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7.13
제천 덕주사 남근석 제천 덕주사 남근석 남근석은 지방 각지에 흔히 세워져 있으나 세운 이유는 차이가 있다. 농사의 풍요와 액을 막기 위한 제사를 올리기도 하고, 마을 입구에 세워진 남근석은 마을을 지켜주는 수문신으로 여겨지고 잇다. 어느 곳에는 돌림병이 심하고 민심이 흉흉해져 그 원인을 알아보니..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7.13
제천 덕주산성 동문 제천 덕주산성 동문 둘레 약 2,000m. 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 현재 유구는 거의 무너졌으나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동문·북문 등이 남아 있다. 이 산성은 신라경순왕의 큰딸 덕주공주(德周公主)가 피난하였던 곳이라고 전해 온다. 이 성은 월악산(月岳山)의 산마루와 그 지맥을 둘러싸고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7.12
제천 사자빈신사터 사사자석탑 제천 사자빈신사터 사사자석탑 사자빈신사(獅子頻迅寺)는 본래 충청북도 제천시(堤川市) 한수면(寒水面) 송계리(松界里)에 있었으며, 현재는 절터(寺址)만이 남아 있다. 사자빈신사지(獅子頻迅寺址)에 있는 석탑은 보물 94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기단부에 4마리의 사자를 원각하여 배치한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7.12
충주 미륵리 사각석등 충주 미륵리 사각석등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방형 석등으로 하대석과 간주석, 상대석, 네 귀퉁이에 둥근 기둥을 세워 구성한 화사석,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하대석에는 복련이, 간주석의 한면에는 불꽃문양이 상대석에는 앙련이 새겨져 있다. ▲사각석등 ▲사각석등 ▲사각석등 ▲사각..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7.12
충주 미륵리 연화문 당간지주 충주 미륵리 연화문 당간지주 돌거북 맞은편 절터 입구에 허리가 부러진 채 쓰러져 있는 당간지주가 있다. 특이한 점은 당간지주에 연화문이 새겨져 있다. 연화문이 새겨진 당간지주는 이곳을 비롯하여 경주 보문리 절터의 당간지주가 있고, 고창 흥덕의 갈공사지 당간지주에 연화문이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