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덕주사 약사여래
충주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한수면 역리에서 1985년에 옮겨진 것으로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땅 속에 묻혀 있었는데, 어느 사람의 꿈에 나타나 발견되었으며 마을의 재해를 막고 아들을 점지해 주었다는 등 여러가지 영험담을 지니고 있다. 약사불의 온몸이 성한 데 없이 긁힌 것은 아픈 사람들이 자기의 아픈 곳과 같은 부위를 긁어다 약으로 썼기 때문이라 한다.
덕주사 약사여래불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부처님으로 장인의 손길이 닿은 불이 아니고 신심이 돈독한 불자의 원력으로 소박하게 조성된 가장 한국적인 부처님이다. 정면, 측면 모두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인 약사전은 석조약사여래좌상의 보호각으로 근래에 건립되었다. 건물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봉안된 약사여래좌상은 1985년 성주스님이 한수면 역리 마을 정금사지(淨金寺址)에 있는 불상으로 충주댐 건설로 그 지역이 수몰 예정되자 이곳으로 옮겨 봉안하였던 것이다. 불상은 나발로 된 머리 꼭대기에는 낮고 작으며 둥그스름한 육계가 있으며, 상호는 밑으로 길게 표현되어 장방형에 가깝다. 두 눈썹은 코에 가깝고, 이 작으며 콧날과 입술부분은 다소 손상되어 있다. 두 눈은 가늘고 길며, 이마에는 지름 2cm 정도의 백호공(白毫孔)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얼굴이 너무 큰 반면 양쪽 어깨는 작아서 움츠린 듯한 모습의 둔중함을 느끼게 한다. 이 같은 양식으로 보아서 조성연대는 고려시대 후기인 12~14세기 무렵으로 추정된다.
▲약사전
▲약사여래
▲약사여래
▲약사여래
▲약사여래 상호
<2015. 5. 17>
'◈한국문화순례◈ > 중원서원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 상당산성 (0) | 2015.09.22 |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0) | 2015.07.13 |
제천 덕주사 남근석 (0) | 2015.07.13 |
제천 덕주산성 동문 (0) | 2015.07.12 |
제천 사자빈신사터 사사자석탑 (0) | 201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