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비중리 일광삼존불
비중리 일광삼존불상은 하나의 돌에 광배(光背)와 삼존불을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다. 4부분으로 조각나 있던 것을 복원한 것인데, 본존(本尊)의 몸통과 머리부분이 분리되고 우협시보살상(右脇侍菩薩像)이 떨어져 나간 것을 수습하여 접합하였으나 좌협시보살상(左脇侍菩薩像)은 아직 찾지 못하였다. 이 지역은 발굴조사 결과 삼국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절터였음이 밝혀졌다.
본존불은 턱과 타원형의 상체, 양 무릎이 정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안정된 자세로 앉아있다. 손은 큼직하게 표현되었으며, U자형의 주름이 새겨진 옷자락은 무릎을 덮으며 좌우로 흘러내리고 있다. 이러한 불상양식은 백제불상에서 엿볼 수 있는 특징들이다. 오른쪽에 서 있는 협시보살 역시 머리칼, 상체의 장식성, X자형의 옷주름 등에서 6세기 초의 불상양식을 보여준다.
이 불상은 발견된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6세기 전반기는 고구려가 점령하였으며, 후반기는 신라의 영토였기 때문에 국적을 판별할 수 없다. 그러나 불상의 형식이나 양식상으로 볼 때 6세기 중엽 내지 후반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본존불은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좌상으로 머리 부분과 어깨에서 가슴 부분까지는 탈락이 심하지만 당당하고 부드러운 조각수법을 보여주며 무릎은 넓직하게 표현되고 무릎 위로 옷자락을 내려뜨리고 있어 백제의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과 매우 비슷한 형태이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을 들어 둘째 손가락을 구부린 시무외인(施無畏印)을 나타내고 있으며 좌수(左手)는 무릎 위에 얹은 모습이지만 마멸이 심하여 알아보기가 힘들다. 법의(法衣)는 우견편단(右肩偏袒)으로 보이는데 어깨와 가슴부분이 심하게 마멸되어 뚜렷하지 않고 무릎 이하에 드러난 의문(衣紋)은 매우 부드럽게 표현되었다. 무릎을 걸쳐 내린 상현좌(裳懸座) 아래에는 삼존불상(三尊佛像)이 조각되어 있고 그 좌우로 각각 사자상(獅子像)이 한 마리씩 배치되어 있지만 마멸이 심하다.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은 몇 겹의 둥근 무늬를 물결식으로 표현하였고, 둘레에는 10구의 화불(化佛)이 표현되었다.
오른쪽 협시보살은 얼굴에 마멸은 있지만 고졸한 미소가 입가에 보이며, 길게 내린 머리카락과 원통형의 체구, 그리고 X자형의 옷 무늬 등이 6세기 보살상에서 보이는 특징으로 이 불상의 조성시기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관점이 되고 있다. 이 불상은 삼국시대인 6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이라는 데는 학자들의 견해가 대체로 일치하고 있으나 고구려, 백제, 신라 가운데 어디 것인지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 신라불상으로 보는 설이 역사지리적인 환경이나 조각수법으로 보아서 가장 합리적으로 생각된다.
▲일광삼존불상 보호각
▲일광삼존불상
▲일광삼존불상
▲일광삼존불상 본존불
▲일광삼존불상 본존불
▲일광삼존불상 본존불
▲일광삼존불상 본존불
▲일광삼존불상 화불
▲일광삼존불상 화불
▲일광삼존불상 화불
▲일광삼존불상 화불
▲일광삼존불상 화불
▲일광삼존불상 화불
▲일광삼존불상 우협시보살
▲일광삼존불상 우협시보살
<2015. 9. 20>
'◈한국문화순례◈ > 중원서원문화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 청룡사터 위전비 (0) | 2015.12.20 |
---|---|
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입상 (0) | 2015.09.24 |
청주 상당산성 (0) | 2015.09.22 |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0) | 2015.07.13 |
제천 덕주사 약사여래 (0) | 201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