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목탑의 재현 -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신라목탑의 재현 -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진천 연곡리 보련산에 있는 보탑사는 1996년 고려시대 절터로 전해지는 곳에 비구니 승려인 지광·묘순·능현이 창건하였다. 1992년 대목수 신영훈을 비롯한 여러 장인들이 참여한 불사를 시작하여 1996년 8월 3층 목탑을 완공하였고, 그 후 지장전·..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8.03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황옥어시문약잔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황옥어시문약잔 黃玉御詩文藥盞 中國 靑代 18世紀 높이 7.5cm, 지름 9cm / 옥 건륭제(乾隆帝)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로서 옹정제를 이어 1736년에 즉위하였다. 그는 1796년까지 60년만 재위하고 태상황제로 퇴위하였는데, 그 이유는 조부인 강희제의 재위기간 61년을 넘지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8.02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백자청화어문합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백자청화어문합 白瓷靑華魚文盒 中國 靑代 19世紀 높이 14.5cm, 지름 14.3cm / 백자 그릇 몸통에는 잉어가 연꽃덩굴 사이를 헤엄치는 물속 광경을 사실적으로 그려 넣었다. 뚜껑 손잡이는 6개의 막대를 6각형으로 펼쳐 손으로 잡기 쉽게 제작되었으며, 손잡이 사이에는 꽃..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8.01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석조태실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석조태실 조선 높이 110cm, 너비 120cm 태실은 흔히 왕자나 공주의 그 태(胎)를 안치하기 위해 제작한 석물을 가리킨다. 안태(安胎) 풍속과 관련된 최초의 기록은 신라의 김유신(金庾信)으로까지 올라가며, 고려 왕실에서도 경상도 안동 등지에 세자의 태(胎)를 봉안했다..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7.31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석조승탑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석조승탑 고려 12세기 높이 190cm, 너비 120cm 이 석조승탑은 신라 이래의 팔각원당형(八角圓堂型)을 기본으로 한 양식으로 기단, 탑신, 옥개(屋蓋)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팔각평면의 지대석(地臺石) 위에 웅경(雄勁)한 앙련복련(仰蓮覆蓮)을 조각한 팔각기단석 2개..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7.30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석등하대석 음성 한독의약박물관 석등하대석 높이 330cm, 너비 200cm 이 석등 하대석(下臺石)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재질은 화강암이다. 하대석 측면의 안상(眼象) 및 귀꽃문, 그리고 상면의 복련문(伏蓮紋)은 당대의 수작에 해당한다. 서울시 지방유형문화재 46호로 지정되었다가, 한독의약박물관..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7.29
성덕대왕신종의 재현 - 진천 성종사 신라대종 성덕대왕신종의 재현 - 진천 성종사 신라대종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이 완벽에 가깝게 재현되었다. 범종 전문 제작업체 성종사와 (사)범종학회가 성덕대왕신종이 1,245년 만에 첨단 기술로 완벽하게 재현됐다. ‘신라대종’으로 명명된 ‘성덕대왕신종’의 재현종은 지난 2003..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7.27
청풍 문화재 단지 - 제천 황석리 고가 청풍 문화재 단지 - 제천 황석리 고가 원래 제원군 청풍면 황석리 유인횡의 고가(古家)였으나 충주댐 수몰로 인하여 이곳 청풍문화재단지 내로 옮겨 복원하였다. 건물의 배치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一자형 문간채와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된 一자형의 안채가 ㄱ자형으로 서남향하여 배..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6.25
청풍 문화재 단지 - 제천 도화리 고가 청풍 문화재 단지 - 제천 도화리 고가 원래 청풍면 도화리에 있었던 김성기 소유의 고가(古家)였으나 충주댐 수몰로 인하여 청풍면 물태리에 위치하고 있는 청풍문화재단지 내로 옮겨 놓았다. 건물의 배치는 ㄷ자형의 안채와 一자형의 행랑채가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었으나 지금은 행랑..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6.24
청풍 문화재 단지 - 제천 후산리 고가 청풍 문화재 단지 - 제천 후산리 고가 원래 제원군 후산리의 유영선 소유의 고가(古家)이었으나 충주댐 수몰로 인하여 청풍문화재단지 내로 옮겨 복원한 주택이다. 현재는 정면 7칸, 측면 2칸의 一자형 평면을 먼저 만든 후 좌측면에 앞으로 꺾어서 정면 3칸, 측면 2칸을 더 붙여 ㄱ자형 평..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