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장락사터 제천 장락사터 장락사터는 제천 지역에서 확인된 불교 유적 중 가장 이른 시기인 삼국 시대에 창건된 불교 유적이다. 통일 신라~조선 시대[18세기경]에 폐사될 때까지 5차에 걸쳐 중창이 이루어졌던 충청북도 지역의 대표적인 불교 유적이다. 장락사는 삼국 시대에 창건된 이래 17세기까지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6.12
제천 의림지 제천 의림지 우리 나라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저수지로 신라 진흥왕 때 우륵이 처음 쌓았으며 약 700여년 뒤에 박의림이 쌓았다고 한다. 제천의 옛 이름인 내토(奈吐)·대제(大堤)·내제(奈堤)가 모두 큰 둑이나 제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 이 제방의 역사가 서력기원 전후의 시기까지 오..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6.11
단양 적성비 단양 적성비 적성비가 발견된 이 지역은 남쪽에서 죽령을 넘어 남한강을 건너기 직전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이며, 부근에는 고구려 장군 온달의 전설이 전해오는 온달산성이 있다. 자연석 화강암의 표면을 다듬어 글자를 새겼으며, 오랫동안 땅속에 묻혀 있던 관계로 마멸이 적어 자획..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6.10
단양 적성 단양 적성 해발 323.7m의 성산(城山, 성재산) 정상부에 있는 산성이다. 소백산맥에서 북동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성벽을 쌓았는데, 동쪽은 죽령천(竹嶺川), 서쪽은 단양천(丹陽川)이 북쪽으로 남한강에 합류하여 3면이 하천으로 둘러싸인 자연 해자를 이루고 있다. 남동쪽으로 4.5㎞ 떨어진..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6.06.09
충주 청룡사터 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충주 청룡사터 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는 고려 공민왕과 공양왕 및 조선 태조의 국사로 있던 고명한 승려인 보각국사의 비이다. 조선 태조 3년(1394년) 문인 선사(禪師)인 희달(希達)이 왕명을 받아 세웠다. 권근(權近)이 비문을 짓고 승려 천택이 글씨를 썼다. 내용은 ..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12.25
충주 청룡사터 보각국사정혜원융탑 충주 청룡사터 보각국사정혜원융탑 이 부도는 고려 말의 고승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의 승탑이다. 승탑이란 승려의 사리를 안치한 건조물로,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초기에 이르기까지 부도의 전형적인 형태인 8각원당형의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이후로는 종모양이 많이 만들어..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12.24
충주 청룡사터 사자석등 충주 청룡사터 사자석등 보각국사정혜원융탑 앞쪽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탑과 함께 조선 태조 3년(1394년)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전체가 방형평면으로 지대석, 기단부, 화사석 및 옥개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의 하대석에 사자를 새겼기 때문에 사자석등이라 부른다. 방형의 단일석..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12.23
충주 청룡사터 석종형 승탑 충주 청룡사터 석종형 승탑 위쪽의 석종형 승탑은 조선시대에 유행하던 전형적인 석종형 승탑으로서 장대석을 방형으로 돌려 구획한 영역 속에 있다. 지대석과 대석, 탑신으로 구성된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승탑이다. 정사각형의 지대석 위에 2단의 하대석을 놓고 화강암의 탑신을 올..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12.22
충주 청룡사터 팔각형 승탑 충주 청룡사터 팔각형 승탑 청룡사 위전비에서 계곡을 따라 보각국사정혜원륭탑으로 가는 도중에 나지막이 축대를 쌓아 조성한 대지 위에 2기의 승탑이 있다. 아래쪽의 승탑은 넓은 판석으로 지대석을 삼고 있으며, 그 위에 승탑과 함께 방형의 큰 석재가 놓여있다. 방형의 석재는 상면에..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12.21
충주 청룡사터 위전비 충주 청룡사터 위전비 청룡사 위전비(位田碑)는 숙종 18년(1692년)에 청룡사의 창건 및 경영 등에 관련한 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신도들이 전답을 기증한 내용을 적은 비석이다. 시주한 신도들의 이름과 품목 및 수량을 적고 있어 당시 사찰의 경영 상태를 파악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 ◈한국문화순례◈/중원서원문화권 2015.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