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석분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석분 적멸보궁 뒤에는 자장스님이 불사리를 봉안하고 수도하던 곳이라 전해지는 석분이 있다. 석분의 외부는 뒷편의 낮은 언덕으로부터 내려오는 완만한 경사를 이용하여 그 흙으로 석실을 엎었는데 남향한 입구 쪽 정면만 높고 뒷편은 경사 때문에 약간 봉긋한 모..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4.04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적멸보궁은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봉안한 사찰 당우(堂宇)이다. 이 불전에는 따로 불상을 봉안하지 않고 불단(佛壇)만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는 신라의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부처님 사리와 정골을 나눠서 봉안한 5대 적멸보궁이 있..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4.03
영월 법흥사 징효대사보인탑비 영월 법흥사 징효대사보인탑비 흥녕사를 크게 발전시킨 징효대사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석비로, 거의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 비몸을 올리고, 그 위에 용머리가 조각된 머릿돌을 얹었다. 받침돌의 거북머리는 용의 머리에 가깝고, 입에는 여의주를 물..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4.02
영월 법흥사 징효대사보인탑 영월 법흥사 징효대사보인탑 통일신라 말기 9산선문 중 사자산문의 중심도량인 법흥사(法興寺)는 흥령선원의 옛터이다. 자장율사가 이 절을 창건했으며, 도선국사와 징효국사 때 크게 산문이 번성하였다. 그러나 진성여왕 4년(891) 병화로 소실되었고, 고려 혜종 1년(944)에 중건하였으나,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4.01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요선정 앞 바위에 무릉리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언뜻 보아서는 입상으로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입상이다. 소발의 머리에 뾰족한 육계가 있고 통통한 얼굴에 코와 입이 큼직하고 귀도 크다. 상체는 길고 원만하나 하체가 거대하여 불균형적이다. 결가부좌한..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3.31
영월 무릉리 요선정 영월 무릉리 요선정 주천강가 언덕 위에 요선정이 있다. 영월지방에 살고 있는 원씨, 곽씨, 이씨 중심으로 주민들이 힘을 모아 숙종, 영조, 정조가 편액, 하사한 어제시를 봉안하기 위하여 1913년 정자를 짓고 요선정이라 불렀다. 1984년 6월 2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요선..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3.30
영월 무릉리 주천강 영월 무릉리 주천강 주천강(酒泉江)은 이름부터가 특이하다. 술이 샘솟는 강이란다. 마을 이름마저도 무릉이란다. 무릉이 어디인가? 무릉도원 아니던가. 무릉도원은 바로 극락이요, 이상향이다. 역시 술이 샘솟는 곳이 곧 극락이란 말인가? 주천강은 남동쪽으로 흘러내려 동강과 만나서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3.29
평창 대관령 양떼목장 평창 대관령 양떼목장 대관령 양떼목장에도 어김없이 겨울이 찾아오고 눈이 쌓였다. 양떼들은 우리로 들어가고 들판에는 얼어붙은 눈만 가득 쌓였다.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양떼목장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3.01.14
평창 발왕산 평창 발왕산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도암면 경계에 있는 산이다. 높이 1,458m. 태백산맥에 속하며 주위에 황병산·박지산·두루봉·옥녀봉 등이 있다. 기반암은 화강편마암이며, 전사면이 급경사이다. 동쪽과 서쪽 사면에서는 송천과 오대천이 각각 발원한다. 정상 일대에는 고산..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2.02.11
평창 오대산 상원사 동종 평창 오대산 상원사 동종 상원사에 가면 또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동종을 만날 수 있다. 현존하는 한국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우며 소리 또한 청아한 상원사 동종이다. 한국 종 고유의 특색을 모두 갖추고 있는 대표적 범종으로, 이상적인 비례감과 안정감 있는 조형미를 이루었다는 평..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1.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