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오대산 월정사 일주문 평창 오대산 월정사 일주문 월정사에서 처음 마주하는 문이다. 화려한 단청에 다포계의 공포로 상부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시각효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현판의 '月精大伽藍'은 탄허 스님의 친필이다. 일주문의 기둥 안쪽에는 신장상이 부조로 새겨져 있다. 절의 어귀에 서 있어 절의 위용을 한 눈에 느..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1.07.12
삼척 대이리 환선굴 삼척 대이리 환선굴 삼척 신기면 대이리(大耳里)에 있는 석회암 동굴로 주굴 길이는 약 3.3km이고, 총길이는 약 6.5km이다. 환선굴을 포함한 대이리동굴지대는 천연기념물 제178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굴은 대체로 북향으로 전개되며 안쪽 80m 지점에 둘레 20여m의 거대한 석주가 서 있고, 그곳에서 북굴·북..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7
삼척 대이리 신선폭포 삼척 대이리 신선폭포 환선굴 입구 조금 못 미쳐서 작은 폭포가 있어 이름을 신선폭포라 한다. ▲주변산세 ▲신선폭포 <2010. 5. 22>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7
삼척 대이리 너와집 삼척 대이리 너와집 조선시대의 너와집으로 1989년 3월 7일 중요민속자료 제221호로 지정되었다. 현소유자 이종옥의 11대 선조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이곳으로 피난와 지은 집이다. 바깥마당에 곳간 한 채가 있고, 사랑방과 안방의 중간에 도장을 두었다. 부엌은 안방 앞쪽에 두었고, 마루와 부엌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6
삼척 대이리 통방아 삼척 대이리 통방아 이 통방아는 100여년 전에 만들어진 대이리의 마을 방앗간으로 일명 물방아 도는 벼락방아라고 전한다. 방아는 곡식을 찧는 틀로, 디딜방아, 연자방아, 물방아 등이 있는데, 이 통방아는 물방아에 속한다. 삼척지역에서는 주로 통방아라고 부르지만, 홍천지역에서는 물통방아라고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6
삼척 죽서루(竹西樓) 삼척 죽서루(竹西樓) 죽서루는 오십천(五十川)이 흐르는 강안(江岸)에 솟아 있는 절벽 위에 위치해 있는데 관동8경의 하나로 경치가 빼어난 곳이다. 이 건물은 창건자와 연대는 미상이나 <동안거사집>에 의하면, 1266년(고려 원종 7년)에 이승휴가 안집사 진자후와 같이 서루에 올라 시를 지었다는 ..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5
삼척 수로부인공원 삼척 수로부인공원 추암의 남쪽 바닷가에 '수로부인공원'이라는 곳이 있다. 그리고 공원 안에는 '해가사의 터'라는 첨탑형 조형물도 세워놓았다. 삼국유사 수로부인조의 이야기를 원용하여 삼척시에서 조성해 놓은 공원이다. ▲수로부인공원 해변 성덕왕 때에 순정공이 강릉태수로 부임을 할 때에 바..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5
동해 추암(錐岩) 동해 추암(錐岩) 해안을 막아선 절벽 끝에 일부러 꽂아놓은 듯 뾰족하게 솟아있는 추암은 '동해의 해금강'이라 불린다. 조선 세조때 한명회가 강원도 체찰사로 있으면서 추암에 와보고는 그 경승에 취해 '능파대'라 부르기도 했다 한다. 촛대바위를 추암 추암의 대표적 명물은 뭐니뭐니 해도 ‘촛대바..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4
동해 해암정(海岩亭) 동해 해암정(海岩亭) 고려 공민왕 10년(1361) 삼척심씨의 시조 심동로(沈東老)가 낙향하여 건립한 정자이다. 심동로의 자는 한(漢)이요, 호는 신제(信齊)이다. 어려서부터 글을 잘하여 한림원사(翰林院使) 등을 역임하고 고려 말의 혼란한 국정을 바로잡으려 하였으나 권세가의 비위를 거슬려 벼슬을 버리..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4
동해 묵호등대 동해 묵호등대 묵호항은 1941년 8월 11일 개항(開港)되어 무연탄 중심의 무역항의 역할과 함께 어항으로 발전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묵호등대는 1963년6월8일 건립 되어 항해하는 선박들의 안전운항에 기여하게 되었다. 해발고도 67m에 자리 잡은 묵호등대는 백원형 철근콘크리트조이고, 높이는 12m의 내.. ◈한국문화순례◈/영동태백문화권 2010.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