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지암골 마애지장보살상 경주 남산 지암골 마애지장보살상 큰지바위 앞에 오각형의 작은 바위가 비스듬히 누워있고 그 바위면에 지장보살상 1구가 새겨져 있다. 머리에는 귀를 덮고 양 어깨까지 드리워진 고깔 달린 두건을 쓰고 있어 지장보살임을 알 수 있다. 육계는 3단이며 두손을 가슴 앞에 모으고 왼손에는 석장을 들었고..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2.20
경주 남산 지암골 큰지바위 경주 남산 지암골 큰지바위 밑 너비약 140m, 높이 약 50m 쯤 되는 거대한 바위가 지암골 삼층석탑 옆에 버티고 섰다. 바로 지암골의 주인인 큰 지바위다. 산 절벽에 기대어선 채 땅의 신(神)으로 숭앙되어 큰 지바위라 불리고 있다. 아직도 큰 지바위 부근에는 동굴 속에 산신기도를 드리기 위한 시설들이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2.19
경주 남산 지암골 삼층석탑 경주 남산 지암골 삼층석탑 지암골 제2절터 산등성이에 화강암으로 다듬은 삼층석탑이 서 있다. 무너져 있던 것을 2003년에 복원하였다. 자연석의 기단과 2단의 괴임 돌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렸다. 상륜부를 제외한 전체 높이는 250cm 정도이며 1층 괴임돌의 너비는 91cm 가량이다. 이곳에 서면 주변에 큰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2.18
경주 남산 지암골(地岩谷) 작은 지바위 경주 남산 지암골(地岩谷) 작은 지바위 지암골은 오산계의 지류이다. 이곳은 환경이 다소 음산하고 바위도 험상궂게 생겨서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곳이다. 이곳은 아직도 무속인들의 산신기도처로 이용되고 있다.계곡 입구에 높이 10m가 넘는 큰 바위가 개울 위에 우뚝 서 있다. 바위 밑에는 작은 굴이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2.17
경주 남산 농바위골 삼층석탑 경주 남산 농바위골 삼층석탑 총 높이가 약 2.5m 정도 되는 아담한 삼층석탑이다. 무너져 있덨던 것을 2002년에 복원하였다. 남산의 많은 탑들과 같이 단층기단이며 지붕돌 층급받침은 4단이다. *농바위골 삼층석탑 *농바위골 삼층석탑 *농바위골 삼층석탑 *농바위골 삼층석탑 *농바위골 삼층석탑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2.16
경주 남산 오산계 고인돌군 경주 남산 오산계 고인돌군 오산골(鰲山谷)은 금오산 정상에서 발원하여 사등이내(南川)에 합하는 계곡으로서 길이가 1,500여m이다. 중산골, 지바위골, 잠찰골, 절골, 농바위골 등의 지류가 있다. 이계곡의 입구에 청동기 시대 묘지인 고인돌들이 남북으로 줄지어 있었는데 지금은 다 없어지고 5기 정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2.15
경주 황룡사터 출토 막새기와(瓦當) 경주 황룡사터 출토 막새기와(瓦當) <국립대구박물관> *덩굴무늬암막새(唐草文平瓦當, 통일신라시대)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圓瓦當 통일신라시대) *귀목무늬수막새(鬼目文平瓦當 고려시대) *귀목무늬수막새(鬼目文圓瓦當 고려시대) <2007. 1. 5>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1.17
경주 인왕동 출토 '南宮之印' 명 암키와 경주 인왕동 출토 '南宮之印' 명 암키와 <국립경주박물관> 경주박물관 미술관 신축부지에서 발굴된 이 '南宮之印'명 암키와 조각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 문헌기록에 전혀 언급돼 있지 않은 왕궁을 고고학 자료를 통해 입증하게 되는 드문 사례다. 삼국사기에는 ‘월성’과 ‘동궁’ 등 10여개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1.05
경주 덕천리 출토 기마인물형토기 경주 덕천리 출토 기마인물형토기 <국립경주박물관> 이 기마인물형토기(騎馬人物形土器)는 2002년 경주시 내남면 덕천리 일대 신라시대 적석목곽분에서 출토되었다. 1호 적석목곽분의 부곽에서 말을 고정시키기 위한 직사각형의 판, 인물상의 머리와 팔, 말 위의 등잔, 말 앞가슴에 물을 따르는 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1.04
경주 미추왕릉지구 출토 토우달린굽다리접시(土偶附高盃) 경주 미추왕릉지구 출토 토우달린굽다리접시(土偶附高盃) <국립경주박물관> 굽다리접시는 굽그릇·고배(高杯)·두(豆)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에서도 출토된 예가 있으나, 주로 김해·경주 등지에서 삼국시대의 발전된 형태가 출토되고 있다. 삼국시대의 것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