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남대총 출토 금굽다리접시(金製高盃) 경주 황남대총 출토 금굽다리접시(金製高盃) <국립경주박물관> *금굽다리접시(金製高盃, 5~6세기) <2007. 3. 24>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26
경주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경주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국립경주박물관> *교동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교동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월성로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미추왕릉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6세기) *황오동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5세기) *황남대총 출토 금드리개(金製垂飾) <2007. 3. 24>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25
경주 귀래정(歸來亭) 경주 귀래정(歸來亭) 귀래정은 조선 영조(英祖) 3년(1755) 여강 이씨(驪江李氏) 천서문중(川西門中)에서 글방으로 세운 것이다. 처음에는 육화정(六花亭)이라 하였으나 1930년경 문중에서 지헌(止軒) 이철명(李哲明, 1477~1523)을 추모하여 귀래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지헌은 연산군 10년(1504)에 문과에 합격..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9
경주 삼괴정(三槐亭) 경주 삼괴정(三槐亭) 삼괴정은 임진왜란 때 경주지역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동호(東湖) 이방린(李芳隣, 1574~1624)과 동생 유린(有隣), 광린(光隣) 삼형제를 추모하기 위해 조선 순조 15년(1815)에 세운 정자이다. 이방린은 임진왜란 때 경주판관(慶州判官) 박의장(朴毅長), 의병장 권응수(權應銖) 등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8
경주 단계서당(丹溪書堂) 경주 단계서당(丹溪書堂) 단계서당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가 순절한 권복흥(權復興)의 사당으로 조선 영조 15년(1739)에 건립되었다. 조선 고종 5년(1868) 때 훼철된 후 1924년에 다시 단(檀)을 설치하고 복향(復享)하였다. 단계서당은 강당인 숭의당(崇義堂)을 중심으로 하여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7
경주 단구서원(丹邱書院) 경주 단구서원(丹邱書院) 단구서원(丹邱書院)은 이세기 선생을 주벽으로 하고 문효공 이천선생, 송화공 이종윤을 배향하고 곳이다. 원래는 송와공을 재향하는 모현서당이 철종 13년(1862)에 건립되었는데, 고종 5년(1868)에 훼철되어 1983년에 중창하였다. *열호문(悅乎門) *단구서원 숭광당(崇廣堂) *경모재..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6
경주 월성주사댁(月城主事宅) 경주 월성주사댁(月城主事宅) 이 가옥은 현재 소유자인 손정호(孫定鎬)의 5대조가 많은 재물을 들여 1780년경에 세웠다고 한다. 원래는 교롱암(敎聾庵)이라고 하였으나, 손정호의 4대조가 문과에 합격하여 궁내부(宮內府) 주사(主事)의 자리에 있었다고 하여 주사댁이라 불리고 있다. 'ㄱ'자 모양의 안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4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영묘사터(靈妙寺址)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영묘사터(靈妙寺址) 영묘사는 전불시대칠처가람(前佛時代七處伽藍址) 중의 하나인 사천미(沙川尾)에 세워졌으며 현재의 흥륜사를 영묘사로 추정하고 있다. 영묘사의 창건에 관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영묘사는 경주부의 서쪽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3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영흥사터(永興寺址)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영흥사터(永興寺址) 영흥사는 흥륜사 다음가는 고찰이었으며 최초의 비구니(比丘尼) 사찰로서 유명하다. 「삼국유사」에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前佛時代七處伽藍之墟) 가운데 둘째는 삼천기(三川岐)로 지금의 영흥사’ 라고 하여 삼천기에 영흥사가 있..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2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흥륜사터(興輪寺址) 전불시대칠처가람지허 - 경주 흥륜사터(興輪寺址) 흥륜사는 불법을 흥하게 한다는 이념으로 창건된 신라 최초의 국찰(國刹)이다. 당시 법흥왕은 흥륜사를 원시신앙의 중요한 공간이었던 천경림(天境林)에다 짓고자 하였으나 귀족들의 반발에 부딪혀 결국에는 이차돈이 순교하는 사건을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