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전양피사터 동서삼층석탑 경주 전양피사터 동서삼층석탑 서출지 남쪽으로 5분정도 길을 따라 걸으면 왼편으로 또 다른 저수지가 보이고 오른편에 두 개의 석탑이 보인다. 여기가 남산리 쌍탑이다. 쌍탑이라지만 동탑과 서탑의 모양이 서로 다르다. *양피사터 전경 *동삼층석탑 이러한 모습은 불국사의 다보탑과 석가탑이 전형..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2.26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유희좌상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유희좌상 칠불암에서 바라보면 하늘에 떠 있는 듯이 바라보이는 바위 벼랑이 보인다. 이곳으로는 오를 수가 없다. 답사객의 발길은 칠불암 옆으로 난 돌밭길을 따라 빙 돌아 오른다. 멀리 석굴암이 있는 토함산이 바라보이고, 토함산과 남산 사이에는 넓은 배반평야가 펼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2.23
경주 황성동 출토 간석기 경주 황성동 출토 간석기 <국립경주박물관> *돌낫(石鎌) 주로 풀이나 곡식을 베고 나무의 가지를 치는 데 쓰는 농기구로 보통 ㄱ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인류의 농경생활이 시작되면서 중요한 도구의 하나로 발명되었는데 초기에는 돌이나 조개껍데기로 날을 끼워 사용하다가 청동기시대에 쇠가 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2.22
경상도 지방 출토 돌보습(괭이犁先) 경상도 지방 출토 돌보습(괭이犁先) <국립경주박물관> 이 돌보습은 괭이의 일종으로 신석기시대에 제작된 석기로서 길이는 20.5cm이다. *돌보습(괭이) <2006. 12. 10>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2.20
경주 신문왕 만파식적길 경주 신문왕 만파식적길 신라 31대 신문왕이 만파식적을 얻으러 감은사를 방문할 때 왕이 수레를 타고 갔던 길은 어디일까? 왕경에서 토함산을 넘어야 하는데 수레가 다닐 수 있는 길은 어느길일까? 그 길은 왕경 - 모차골 - 서낭당 고개 - 세수방 - 불령재 - 용연 - 기림사로 이어지는 길이다. 이 길은 비..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2.18
경주 송화산 출토 석조반가사유상 경주 송화산 출토 석조반가사유상 <국립경주박물관> 반가사유상은 왼쪽 다리를 내리고 오른쪽 다리를 얹은 일종의 반가부좌 자세로 왼손은 오른쪽 다리의 발목을 잡고, 오른팔꿈치는 무릎 위에 붙인채 손가락을 뺨에 살짝 대고 깊은 생각에 잠겨 있는 보살상을 말한다. 원래 이 상은 부처가 태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2.17
경주 계림로 출토 금제감장보검(金製嵌裝寶劍) 경주 계림로 출토 금제감장보검(金製嵌裝寶劍) <국립경주박물관> 1973년 미추왕릉지구(味鄒王陵地區) 발굴 당시 14호분에서 발견된 장식보검은 피장자의 허리 위치에 놓여 있었는데, 철제(鐵製)로 된 칼과 칼집은 부식이 극히 심하여 거의 전부 없어지고 오직 이 금제장식만이 남아 있다. 현재 이 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6.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