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동천동 출토 '東'銘 수막새(圓瓦當) 경주 동천동 출토 '東'銘 수막새(圓瓦當) <국립경주박물관> *'東'銘 수막새(圓瓦當, 통일신라) <2006. 12. 10>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22
경주 출토 '岬山寺'銘 암막새(平瓦) 경주 출토 '岬山寺'銘 암막새(平瓦) <국립경주박물관> *'岬山寺'銘 암막새(平瓦, 통일신라) <2006. 12. 10>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22
경주 박물관 소장 화살촉 경주 박물관 소장 화살촉 <국립경주박물관> *화살촉 *화살촉 *화살촉 <2006. 12. 10>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21
경주 박물관 소장 간돌칼 경주 박물관 소장 간돌칼 <국립경주박물관> *간돌칼 *간돌칼 상세 *간돌칼 상세 <2006. 12. 10>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21
경주 박물관 소장 한국식 동검(韓國式銅劍) 경주 박물관 소장 한국식 동검(韓國式銅劍) <국립경주박물관> 한국식동검은 요령식동검이 변화되어 우리나라에서 발전한 것으로 청동기문화 후기의 표지적인 유물이다. 검신(劍身)과 손잡이(柄部)가 따로 만들어졌으며 검신이 요령식동검에 비하여 직선화되어 있고 허리가 뚜렷하게 마디를 이루..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14
경주 입실리 출토 꺽창(銅戈) 경주 입실리 출토 꺽창(銅戈) <국립경주박물관> *꺽창(銅戈, 초기철기시대) <2007. 3. 24>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13
경주 인왕동 출토 나무두레박 경주 인왕동 출토 나무두레박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 신축부지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우물터에서는 다량의 유물과 함께 7점의 나무두레박이 출토되었다. 구레박은 모두 통나무를 깊게 파내어 만들었으나, 전체적인 형태와 끈을 연결하는 방법에서는 조금씩 차이가 보인..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07
경주 낭산(狼山) 석조십일면관음보살입상 경주 낭산(狼山) 석조십일면관음보살입상 <국립경주박물관> 이 십일면관음보살입상은 '조선고적도보'의 당시 사진으로 보아 전중생사터(傳衆生寺址) 부근에서 삼존형식을 갖춘 석불의 오른쪽 협시보살(右挾侍菩薩)이었음이 확인되었으나, 그 당시의 본존과 왼쪽 협시보살은 현재 행방이 묘연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06
경주 남산 장창골 석미륵삼존불 경주 남산 장창골 석미륵삼존불 <국립경주박물관> 선덕여왕 때에 중 생의(生義)가 일찍이 도중사(道中寺)에 살았는데 꿈에 웬 중이 와서 그를 끌고 남산으로 올라가 풀을 매어 표를 하게 하고 산 남쪽 골에 와서 말하기를, “내가 이곳에 묻혔으니 스님은 나를 파내어 고개 위에 안장해주소”라고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07.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