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1105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북면 보살입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북면 보살입상 굴불사터 사면석불 북면에는 중부조의 미륵보살입상과 선각의 십일면육비(十一面六臂) 관음보살입상을 새겨넣었다. 미륵보살입상은 약간 내반된 감실형 공간에 부조했으며, 반복된 정 자국이 빛을 방사하는 광배같은 느낌을 준다. 그 왼..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남면 여래입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남면 여래입상 굴불사터 사면석불의 남면에는 세련된 솜시로 훨씬 작은 크기의 삼존불(석가삼존불?)이 조각되었다. 현재 오른쪽 협시보살 전체와 왼쪽 협시보살의 머리가 탈락되어 잇다. 남면(南面)에는 원래 삼존불이 부조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오..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동면 약사여래좌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동면 약사여래좌상 동서남북에 불상을 조성하는 것은 대승불교의 발달과 더불어 성행한 사방불신앙의 한 형태였다. 불교경전이나 불상에 나타나는 사방불의 명칭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굴불사의 경우 어느 특정한 경전에 의하였다고 하기보다는 당시의 대승불교..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서면 아미타삼존불입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서면 아미타삼존불입상 굴불사는 신라 제35대 경덕왕이 백률사로 행차했을 때 당속에서 염불소리가 들려 파게 하니 큰 돌에 사면석불이 새겨져 있음을 알고 질을 짓고 굴불사로 하였다고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이다. 그러나 굴..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표암 마애사찰도(寺刹圖)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표암 마애사찰도(寺刹圖) 경주 금강산 표암(瓢巖)에서 통일신라 때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사찰도(寺刹圖)가 발견됐다. 표암 암벽 사이 초목 제거 작업을 하던 중 지상 5m 높이의 바위에 사찰의 건물과 탑, 인물 등이 새겨진 사찰도(寺刹圖)를 확인했다. 전체 크기는 가로 ..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전도량사터 마애지장보살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전도량사터 마애지장보살상 금강산 동남쪽 도로변에 마애보살상이 있다. 1979년경에 길을 보수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마애보살상은 자연 암벽의 남면을 이용하여 조각하였는데 보살상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작시의 것으로 추정되는 거친 정자국을 그대로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