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백률사 마애삼층탑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백률사 마애삼층탑 백률사 대웅전 남편 암벽에 삼층마애탑이 새겨져 있다. 암벽에 불상을 새긴 것을 마애불이라고 하듯이 암벽에 새긴 탑을 마애탑이라고 한다. 마애탑은 돌을 쌓아 만든 석탑처럼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어쩌다 볼 수 있을 만큼 드물게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24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백률사(栢栗寺)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백률사(栢栗寺) 신라시대의 성소(聖所)는 어디였을까? 먼저 생각할 수 있는 곳이 삼산오악(三山五嶽)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삼산은 나림(奈林), 혈례(穴禮), 골화(骨火)를 말하는데 구체적으로 현재의 지명은 알 수가 없으나 대체로 나림은 현재의 낭산, 혈례는 청도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23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북면 보살입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북면 보살입상 굴불사터 사면석불 북면에는 중부조의 미륵보살입상과 선각의 십일면육비(十一面六臂) 관음보살입상을 새겨넣었다. 미륵보살입상은 약간 내반된 감실형 공간에 부조했으며, 반복된 정 자국이 빛을 방사하는 광배같은 느낌을 준다. 그 왼..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22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남면 여래입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남면 여래입상 굴불사터 사면석불의 남면에는 세련된 솜시로 훨씬 작은 크기의 삼존불(석가삼존불?)이 조각되었다. 현재 오른쪽 협시보살 전체와 왼쪽 협시보살의 머리가 탈락되어 잇다. 남면(南面)에는 원래 삼존불이 부조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오..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21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동면 약사여래좌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동면 약사여래좌상 동서남북에 불상을 조성하는 것은 대승불교의 발달과 더불어 성행한 사방불신앙의 한 형태였다. 불교경전이나 불상에 나타나는 사방불의 명칭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굴불사의 경우 어느 특정한 경전에 의하였다고 하기보다는 당시의 대승불교..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20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서면 아미타삼존불입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굴불사터 서면 아미타삼존불입상 굴불사는 신라 제35대 경덕왕이 백률사로 행차했을 때 당속에서 염불소리가 들려 파게 하니 큰 돌에 사면석불이 새겨져 있음을 알고 질을 짓고 굴불사로 하였다고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이다. 그러나 굴..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19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표암 마애사찰도(寺刹圖)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표암 마애사찰도(寺刹圖) 경주 금강산 표암(瓢巖)에서 통일신라 때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마애사찰도(寺刹圖)가 발견됐다. 표암 암벽 사이 초목 제거 작업을 하던 중 지상 5m 높이의 바위에 사찰의 건물과 탑, 인물 등이 새겨진 사찰도(寺刹圖)를 확인했다. 전체 크기는 가로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18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전석탈해왕릉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전석탈해왕릉 경주 동천동 금강산 기슭에 신라 제4대 석탈해왕의 능이라 전하는 고분이 소나무 숲 속에 자리잡고 있다. 석탈해왕은 서기 80년에 사망하였다. 이 시기는 목관묘를 만들던 시기였다. 1974년에 이 무덤이 도굴당한 적이 있었다. 당시 경주박물관..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18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전도량사터 마애지장보살상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전도량사터 마애지장보살상 금강산 동남쪽 도로변에 마애보살상이 있다. 1979년경에 길을 보수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마애보살상은 자연 암벽의 남면을 이용하여 조각하였는데 보살상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작시의 것으로 추정되는 거친 정자국을 그대로 남..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17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금강산(金剛山) 금강산을 찾아서 - 경주 금강산(金剛山) 금강산은 경주시내 동북쪽에 위치하며 해발 176.8m, 남북길이 2.75km, 동서 0.7m 되는 가늘고 긴 형태의 산이다. 골자기가 깊거나 높지도 않은 평범한 산이기는 하나 신라 초기 설씨 시조인 명활산 고야촌장 호진의 탄강지였으며, 이씨 시조 양산촌장 알..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