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순례 - 경주 남산 장창골 석조미륵삼존불좌상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장창골 석조미륵삼존불좌상 <국립경주박물관> 1924년 경주 남산 장창골의 한 설식에서 발견되어, 그 이듬해 박물관으로 옮겨온 불상이다. 삼화령 미륵삼존불이라고도 부르는데, 삼국유사 '생의사석미륵조'조에서 선덕여왕 3년, 즉 634년에 경주 남산 삼화령 생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7.02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철와골 석조불두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철와골 석조불두 <국립경주박물관> 경주남산 철와골에서 발견된 이 불두는 높이가 153cm, 중량은 1.7t에 달하는 대형이다. 이 불두는 일반적인 불상의 비례로 보아 만약 입상(立像)이었다고 하면 그 불상은 전체 높이가 무려 10m가량이나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설혹 좌상(坐像)..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7.01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왕정골 석조여래입상 남산순례 - 경주 남산 왕정골 석조여래입상 <국립경주박물관> 이 불상은 경주 남산 도당산토성 동쪽에 있는 왕정골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약간 살이 오른 얼굴은 탄력감이 느껴지며, 옷주름은 단이 져 있어 마치 실물을 보는 듯하다. 이러한 특징은 삼국시대 불상에서는 볼 수 수 없던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30
남산순례 - 경주 남산 개선사터 석조약사여래입상 남산순례 - 경주 남산 개선사터 석조약사여래입상 <국립경주박물관> 이 불상은 1930년대 경주 남산의 개선사터(開仙寺址)에서 옮겼다. 경주읍지에 따르면 개선사는 금오산 동쪽 기슭에 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리고 조선 인조 9년(1631) 그 자리에 대승암(大僧庵)을 세웠다고 한다. 왼손에 둥근 단..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29
경주 전봉성사터(傳奉聖寺址) 경주 전봉성사터(傳奉聖寺址) 봉성사(奉聖寺)는 성전사원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가 백제, 고구려를 멸하고 일통삼한(一統三韓)을 달성하던 무렵에 그 도읍지 경주 일대에 집중적으로 조성한 7개 사찰로서 국가가 직접 관리한 곳을 삼국사기에서는 성전사원(成典寺院)이라 칭하고 있다. 삼국사기에 나..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26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마동 삼층석탑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마동 삼층석탑 신라시대의 절터 중에서 삼국사기에 나오는 곳은 많이 비정되고 있지만 삼국유사의 것은 아직 비정되지 못하는 곳이 많다. 이곳 장수사터도 잘 못 비정된 절터 가운데 하나이다. 역사 유적지를 비정할 때는 한가지 속성이 있다. 그것은 유물이 있으면 되도록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24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구정동 방형분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구정동 방형분 경주에는 내부를 들어가 볼 수 있는 무덤이 세 군데 있다. 대릉원에 있는 천마총, 장산토우총이 그것이고 마지막 하나는 바로 이곳 구정동 방형분이다. 이 무덤의 가장 큰 특징은 외부의 모양이 방형이라는데 있다. 신라의 무덤은 모두가 외부가 원형분인데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23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성덕왕릉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성덕왕릉 전효소왕릉의 동편 약 100m 지점에 33대 성덕왕릉으로 전해지는 왕릉이 있다. 봉분높이는 4.5m, 직경은 14.65m의 원형봉토분이며 내부구조는 횡혈식석실분이다. 삼국사기를 비롯하여 삼국유사,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경잡기 등의 기록..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22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전효소왕릉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전효소왕릉 형제산의 남서쪽 산자락 성덕왕릉으로 가는 길목에 신문왕의 아들인 32대 효소왕릉으로 전하는 고분이 있다. 외형은 원형봉토분이며 봉분 높이는 4.30m, 봉분의 높이는 18.34m, 둘레는 57.5m 이다. 내부구조는 횡혈식석실분이다. 봉분자락에는 너비 4~50cm 정도의 괴석..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21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전이거사터 부처님 나라 가는 길 - 경주 전이거사터 이거사(移車寺). '수레를 옮긴다'는 의미가 무엇일까? 달리 표현하면 '전륜(轉輪)'이다. 즉 '바퀴를 굴린다'는 의미이다. 이 수레는 '불법의 수레'요, 바퀴는 '불법의 바퀴'이다. 불법의 바퀴를 굴리는 분은 바로 전륜성왕이다. 「삼국사기」에 .. ◈한국문화순례◈/서라벌문화권 2011.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