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임당동 고분군(林堂洞古墳群) 경산 임당동 고분군(林堂洞古墳群) 임당동 구릉위에 있는 삼국시대 전기 무덤들로서 무덤의 형식은 널무넘(목관묘), 독무덤(옹관묘),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 출토유물은 금·은제 각종 치레거리(장신구), 고리자루큰칼(환두대도)을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4.17
경산 강학리 출토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경산 강학리 출토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경산시립박물관>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 고려시대) <2008. 3. 14>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3.21
경산 임당동 출토 청동범종(靑銅梵鐘) 경산 임당동 출토 청동범종(靑銅梵鐘) <경산시립박물관> ▲청동범종(靑銅梵鐘, 고려시대) <2008. 3. 14>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3.21
경산 임당동 출토 청자기름병(靑磁油甁) 경산 임당동 출토 청자기름병(靑磁油甁) <경산시립박물관> ▲청자기름병(靑磁油甁, 고려시대) <2008. 3. 14>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3.21
경산 임당동 출토 병(甁) 경산 임당동 출토 병(甁) <경산시립박물관> ▲병(甁, 고려시대) ▲병(甁, 고려시대) ▲병(甁, 고려시대) <2008. 3. 14>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3.21
경산 시립박물관 소장 석등 경산 시립박물관 소장 석등 <경산시립박물관> 석등은 원래 절의 내부를 밝히는 것으로 밝은 지혜로 어둠을 밝혀 번뇌를 없애는 마음의 등불을 상징한다. 조선시대에는 무덤을 밝히는 용도로 세우기도 하였다. 이 석등은 기둥돌, 창을 뚫어 등을 넣는 불발기집, 지붕돌 등 석등의 형식을 모두 갖추..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3.20
경산 시립박물관 소장 석인 경산 시립박물관 소장 석인 <경산시립박물관> 무덤 앞에 세우는 수호신상으로 움푹 패인 큰 눈과 지그시 다문 입, 가는 팔을 둥글게 구부려 가슴 앞에서 두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있는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석인(조선후기) <2008. 3. 14>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3.20
경산 시립박물관 소장 석탑 경산 시립박물관 소장 석탑 <경산시립박물관> 석탑은 부처의 유골인 사리를 모시는 기념물로서, 불상을 안치하는 금당과 함께 절에서도 중요한 건출물 중의 하나이다. 사리를 대신하여 부처의 말씀인 불경을 안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 석탑은 원래 3층이었으나 기단과 1층은 없어지고 상륜부의 일..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3.20
청도 대적사 극락전(大寂寺極樂殿) 청도 대적사 극락전(大寂寺極樂殿) 신라 헌강왕 2년(876) 체징이 창건하였으며, 고려 초기 보양이 중창하였다고 전한다.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랑 때 불에 탄 뒤 1635년 중건하고 1689년(숙종 15) 중수하였다. 현재의 사찰터는 오랫동안 인적이 끊어졌다가 1869년(고종 6)에 성해대사가 중수했다고 한다.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2.13
영천 향교(鄕校) 영천 향교(鄕校) 영천향교는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 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1435년(세종 17)에 창건되었으며, 중국 목수에 의해 건축된 특이한 구조의 건물이다. 1513년(중종 8)에 군수 김흠조(金欽祖)가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사인(士人) 이현남(李顯男)이 대..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7.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