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비슬산 염불암터 삼층석탑 달성 비슬산 염불암터 삼층석탑 대구의 대표적인 산인 비슬산에는 불교문화가 번성할 당시에 암자를 포함하여 99개의 사찰이 있었다고 전한다. 염불암도 그 중 하나이다. 염불암터(念佛庵址)는 소재사가 있는 곳에서 대견사터 쪽으로 오르는 계곡에 자리하고 있다. 가파른 비탈길을 지나서 염불암터에..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1.22
달성 비슬산 암괴류(岩塊流) 달성 비슬산 암괴류(岩塊流) 암괴류(岩塊流)란 큰 자갈 내지 바위 크기의 둥글거나 각진 암석덩어리들이 집단적으로 산 사면이나 골짜기에 아주 천천히 흘러 내리면서 쌓인 것을 말한다. 비슬산 암괴류는 지금으로 부터 약 1만년전~10만년전인 주빙하기 후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중생대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1.21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인수문고(仁壽文庫)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인수문고(仁壽文庫) 남평 문씨 집안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고서를 가지고 있는 집안으로 알려졌다. 남평 문씨는 인수문고라는 특별한 문고를 갖고 있다. 현재 인수문고에서 소장하고 있는 책 종류가 약 8500 여 권에 달한다. 보통 고서의 경우에는 1 책이 2-3 권으로 되어있기 때문..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22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수봉정사(壽峯精舍)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수봉정사(壽峯精舍) 광거당과 함께 수봉정사는 일제 식민지라는 혹독한 시련기에도 수많은 학자와 문인들이 모여들어 학문과 예술의 꽃을 피웠으며, 사라져가는 조선 양반의 자부심과 권위를 떨친 역사적인 장소이다. 수봉정사는 1936년에 수봉 문영박 선생의 학문을 이어받고,..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21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광거당(廣居堂)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광거당(廣居堂) 광거당(廣居堂)은 달성 인흥마을에 있는 남평문씨 세거지에 있는 한옥으로, 마을에서 조금 떨어진 오른쪽에 동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1934년에 지어진 용호재(龍湖齋)를 허물고, 그터에 후손들에게 학문과 교양을 가르치고 문중의 공식적인 행사를 거행하는 재..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20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죽헌종택 달성 남평문씨 세거지 - 죽헌종택 고가인 경우 그 안에 사람이 살고 있으면 같은 집인데도 훈기가 돌고 윤기가 흘러 집이 돋보인다. 반대로 아무리 가치 있는 훌륭한 집이라도 그곳에 사람의 손길이 끊어지면 찬바람이 휘감기고 허망함이 배어나와 집의 품격이 떨어지고 수명도 줄어든다. 인흥마을은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19
달성 인흥사터(仁興寺址) 달성 인흥사터(仁興寺址) 인흥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었던 절로서 창건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다. 원래 이름은 인홍사(仁弘寺)이다. 1264년(원종 5) 오어사(吾魚寺)에 있던 일연(一然)이 옮겨와서 주지가 되었고, 1275년(충렬왕 1) 이 절을 중창한 뒤 인흥사로 개칭하였다. 이에 충렬왕..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18
달성 비슬산 도성암(道成庵) 달성 비슬산 도성암(道成庵) 유가사(瑜伽寺) 부도 앞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면 부속암자이며, 경상북도 3대 참선수도처 중의 하나로 알려진 도성암에 이른다. 신라 827년(흥덕왕 2)에 도성(道成)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도성은 이곳에 머무르면서 남쪽 고개에 있는 관기(觀機)와 교유하였으며, 평소에는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17
달성 비슬산 유가사(瑜伽寺) 달성 비슬산 유가사(瑜伽寺) 비슬산의 정상인 대견봉 아랫 자락에 아늑히 들어앉은 산사로 827년(흥덕왕 1년) 도성국사(道成 國師)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도성국사는 시공을 초월하는 놀라운 도력(道力)을 지녔다고 하며, 비슬산의 바위 모습이 마치 아름다운 구슬과 부처..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16
청도 비슬산 용천사(湧泉寺) 청도 비슬산 용천사(湧泉寺) 맑고 깨끗한 계곡을 따라 비슬산 헐티재를 넘어 용천사 가는 길은 누구의 눈길이라도 사로잡을 만큼 아름답다. 산 능선을 타고 구비구비 산길을 넘어가면 길가에 천년 고찰 용천사가 아담하게 자리하고 있다. 용천사(湧泉寺)라는 이름은 맑고 풍부한 석간수가 끊임없이 용..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