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층석탑 대구 팔공산 부인사 삼층석탑 원래 심하게 파손되어 있던 동서쌍탑인데 1964년 서탑만 복원한 것이다. 2층기단에 삼층 탑신을 올린 일반적인 양식을 취하고 있다. 하층기단은 네 개의 돌로 짜 맞추었으며 상층기단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 2단을 조각하여 놓았다. 아래층 기단의 바닥돌에는두 개의 버팀기..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9
대구 팔공산 부인사 부도 대구 팔공산 부인사 부도 부인사 입구에 두기의 부도가 잇다. 하나는 팔각원당형 부도이고 도 하나는 석종형 부도이다. 팔각원당형 부도는 통일신라시대 이후 가장 많이 사용된 양식으로, 4각의 바닥돌 위에 올려진 각 부분이 모두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단부, 탑신부, 옥개로 구성되었으..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8
대구 신무동 마애불좌상 대구 신무동 마애불좌상 부인사 계곡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이 마애불좌상은 지상에 노출된 큰 바위 동남 측면에 돋을새김한 불상이다. 좌대를 포함한 높이가 1m가량 되며, 정삼각형의 모습이 안정감을 준다. 근엄한 표정에 광배까지 큰 마모 없이 잘 살아 있는 선이 특히 아름답다. 이 불상은 길쭉한..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7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기성리 삼층석탑이 있는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는 칠곡 송림사에서 한티재로 넘어가는 길목이다. 이곳을 법성동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 마을 일대에 법성사(法聖寺)라는 큰 절이 있었던 까닭이다. 개울을 건너 변변한 길조차 없는 밭둑과 밭고랑을 번갈아 지나면 신라 석탑의 모..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6
칠곡 송림사 석등 칠곡 송림사 석등 오층전탑 서편 마당에 일반형 석등 한 기가 서 있다. 옆에 또다른 석등 하대석이 잇는 것으로 보아 모두 제작인지 의문이 간다. 연화문이 새겨진 하대석 위에 팔각형 간주석을 놓고 그 위에 앙련이 새겨진 상대석을 얹었다. 상대석 위에는 높이에 비해 폭이 넓은 화사석을 놓았다. 화..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5
칠곡 송림사 오층석탑 사리석함 칠곡 송림사 오층석탑 사리석함 1959년에 송림사 오층전탑을 완전 해체수리할 때에 탑 안에서 거북 모양의 사리석함이 출토되었다. 사리석함은 오층전탑의 2층에서 나온 것이다. 금동제사리탑을 비롯하여 파란 유리병과 녹색 유리컵 등 상당수의 사리장엄구가 이 속에 들어 있었다. 사리석함은 현재 대..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4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송림사 대웅전 앞에 서있는 5층 전탑(塼塔)으로, 흙으로 구운 벽돌을 이용해 쌓아 올렸다. 단층 기단 위에 상륜부까지 완벽하게 남아있어 희귀한 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낮은 토단 둘레에 화강암 판석을 돌려서 기단을 삼았으며, 면석에는 우주와 탱주가 각면 5주씩 모..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3
칠곡 송림사 대웅전 칠곡 송림사 대웅전 송림사는 신라 눌지왕(재위417∼458) 당시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신라 진흥왕 5년(544)에 진나라에서 귀국한 명관대사가 중국에서 불사리를 가져와 호국안민을 위한 기원보탑을 세우고 이곳에 불지사리를 봉안했다고 한다. 1092년(선종9) 대각국사 의천스님이 중창,1235년 몽골..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2
달성 정대리 조길방 가옥 달성 정대리 조길방 가옥 현 소유자의 먼 웃대 조상은 대구의 동북방(東北方)에 있는 동촌(東村) 비행장 근처에 살고 있었으나 9대조 광국(光國)(1708∼1776)대에 가화(家禍)를 당하여 총각의 몸으로 이곳 한덤(대암, 大岩)에 숨어들어와 정착하게 되었다하며 안채는 이때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깊은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9.03.01
영천 조양각(朝陽閣) 영천 조양각(朝陽閣) 명원루 혹은 서세루라고 불리는 조양각은 고려 공민왕 17년(1368)에 당시 부사이던 이용, 그리고 향내 유림들과 합심하여 지은 건물로서 영남 7루의 하나다. 원래는 조양각을 중심으로 좌우에 청량당과 쌍청당 등, 여러 개의 건물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되었다고 한다. 현..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