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경북대학교 석불좌상 대구 경북대학교 석불좌상 <경북대학교 월파원> ▲석불좌상(통일신라시대) ▲석불좌상(통일신라시대) 2008. 6. 14>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7.21
대구 이천동 고인돌 대구 이천동 고인돌 <경북대학교 월파원> 일제시에 조사된 적이 있는 옛 대봉동 4구역 지석묘군의 일부이다. 1990년과 1998년 경북대학교 박물관이 두 차례의 재발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일제시 보고서 도면의 오류가 밝혀졌고 수기의 석곽이 더 발견됨으로써 당시의 유적 조사에 대한 재검토의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7.21
대구 상인동 고인돌 대구 상인동 고인돌 <경북대학교 월파원> 1992년 경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한 지석묘군이다. 강돌을 깔아서 장방형의 석곽을 만든 다음 둘레에 강돌을 깔아 한변 3.5~5m의 방형 묘역을 만들었다. 북동-남서?으로 5기의 석곽이 묘역을 잇대어 축조되어 있으며 동남쪽 가까이에 2기의 석곽이 더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7.21
달성 용연사 석조계단(石造戒壇) 달성 용연사 석조계단(石造戒壇) 부처님의 육신과 다름없는 진신사리를 모신 곳을 적멸보궁(寂滅寶宮)이라 한다. 적멸보궁의 유래는 신라시대 자장율사께서 중국 오대산에서 기도한 가피력으로 금란가사와 사리를 모시고 돌아와서 설악산의 봉정암, 영축산의 통도사, 태백산의 정암사, 오대산의 월정..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6.07
달성 비슬산 용연사(龍淵寺) 달성 비슬산 용연사(龍淵寺) 신라 신덕왕 3년(914)에 보양국사(寶壤國師)가 창건했으며, 이 절터는 용이 살았던 곳이라고 해서 절이름을 용연사라 했다고 한다. 옛날 못 속에 일곱 마리의 용이 살았는데 서로 승천하려고 다투며 농민을 괴롭혀 용왕의 아들이 용을 잡으려하자 네 마리는 도망을 가고 세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6.06
달성 현풍 석빙고 달성 현풍 석빙고 석빙고는 글자 그대로 얼음을 보관하는 창고로 알려져 있지만, 안동 석빙고처럼 특산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만든 것도 있다. 따라서 석빙고는 신선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생산물의 보관기능도 가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얼음창고의 크기는 길이 9m, 너비 5m, 높이 6m이다. ▲현풍 석빙..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6.05
달성 비슬산(琵瑟山) 달성 비슬산(琵瑟山) 비슬산(琵瑟山)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청도군, 경산군, 창녕군의 경계선을 이루고 있다. 비슬산의 모양세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청도쪽이나 현풍쪽에서 봐야 제모습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구 쪽에서 본 앞산을 비슬산의 전부로 착각하고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앞산은 비..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6.05
달성 대견사터 삼층석탑 달성 대견사터 삼층석탑 이 석탑은 대견사터 절터에 흩어져 있던 석탑재를 1988년 달성군에서 복원한 것이다. 이 탑은 이층기단에 삼층탑신을 올린 형식으로 기단부는 2단으로 되어 있다. 암반을 지대석으로 하고 그 위에 하층기단, 그 위에 상대면석과 상대갑석을 다른 돌로 다듬어 세웠다. 하대석에는..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6.04
달성 비슬산 대견사터(大見寺址) 달성 비슬산 대견사터(大見寺址) 비슬산 조화봉 아래에 자리한 대견사터는 신라 흥덕왕 때 창건된 사찰로 전해지고 있다. 창건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가 없다. 구전에 의하면 당나라 문종(文宗)이 절을 지을 곳을 찾고 다녔는데, 하루는 낯을 씻으려고 떠놓은 대야의 물에 아주 아름다운 ..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6.03
달성 비슬산 소재사(琵瑟山消災寺) 달성 비슬산 소재사(琵瑟山消災寺) 소재사는 비슬산 조화봉 남서 중턱 해발 430m에 위치한 동화사의 말사이다. 최초 창건 시기는 신라 시대로 전해지고 있으나 자세한 개산 연대는 미상이다. 사기(寺記)에 따르면 고려 공민왕 7년(1358)에 진보법사가 중창했고, 조선 세조 3년(1457)에 활륜선사가 중건하였.. ◈한국문화순례◈/달구벌문화권 2008.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