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수덕사 대웅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서해를 향한 차령산맥의 낙맥(落脈)이 만들어 낸 덕숭산(德崇山)은 북으로는 가야산(伽倻山), 서로는 오서산, 동남간에는 용봉산(龍鳳山)이 병풍처럼 둘러쌓인 중심부에 서 있다. 이 덕숭산 자락에 많은 고승들을 배출한 한국불교의 선지종찰(禪之宗刹) 수덕사가 자리..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9
서산 간월도 간월암 서산 간월도 간월암 간월암은 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작은 암자로 조선 초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으며 송만공 대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다른 암자와는 달리 간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고 만조시는 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로 만조시에는 물 위에 떠 있는 암자처럼 느껴진다. 주위 ..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8
태안 백화산 봉수대 태안 백화산 봉수대 Potalaka 백화산은 인도에서 관세음보살이 거주하는 산. 범어 포탈라카(potalaka)를 음역한 것이다. 그 듯은 바로 흰꽃이다. 즉 작고 흰꽃(小白華)이 흐드러지게 핀 바닷가의 산에 관음보살이 머물고 있다는 내용이 화엄경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으니, 바로 이 백화산의 마애..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7
태안 동문리 백화산 마애여래삼존상 태안 동문리 백화산 마애여래삼존상 거대한 바위의 동면(東面)에 감실(龕室)을 마련하고 삼존불입상을 새겼다. 중앙에 본존불을 배치하고 좌우에 협시보살(脇侍菩薩)을 배치하는 일반적인 삼존 배치와 달리, 중앙에 보살, 좌우에 불상을 배치한 독특한 형식을 취하였다. 더욱이 좌우의 불..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6
서산 도비산 부석사 서산 도비산 부석사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修德寺)의 말사이다. 창건에는 여러 가지 이설(異說)이 있다. 첫째는 677년(문무왕 17)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는 설이다. 의상이 이 절을 창건할 때에 도둑의 무리들이 몇 번이나 달려들어 허물어버리자, 선묘(善妙)의 화신(化..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5
당진 안국사터 배바위 매향비 당진 안국사터 배바위 매향비 고려의 민간에서 조직된 신앙 공동체인 향도에서 시행한 행사로 내세의 복을 위해 향을 땅에 묻는 의식을 말한다. 매향은 내세의 복을 빌기 위해 향을 땅에 묻는 행사이다. 고려의 사람들은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염원하면서 향을 묻고 비석을..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4
당진 안국사터 석불입상 당진 안국사터 석불입상 본존불 높이 491㎝, 좌협시보살 높이 355㎝, 우협시보살 높이 170㎝. 본존은 5m에 가까운 큰 불상으로 얼굴과 신체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방형(方形)에 가까운 넓적한 얼굴에는 반원형으로 길게 그려진 눈썹, 거의 일직선에 가까운 눈, 납작한 코, 앞으로 내밀..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3
당진 안국사터 석탑 당진 안국사터 석탑 안국사는 창건된 해가 분명하지 않고, 다만 절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해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주지가 되어 다시 일으켜 세웠으나 곧 다시 폐사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높이 3m. 받침..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2
백제의 여운 - 서산 보원사터 석조 백제의 여운 - 서산 보원사터 석조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석조(돌그릇)이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인다.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조각수법이 간결하고 소박하면서..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1
백제의 여운 -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비 백제의 여운 - 서산 보원사터 법인국사 보승탑비 고려시대의 승려 법인국사 탄문을 기리는 탑비이다. 비받침인 귀부(龜趺)는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받침을 하고 비.. ◈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2018.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