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순례◈/내포문화권

풍수의 전형 - 예산 남연군묘

蔥叟 2018. 5. 3. 09:21

풍수의 전형 - 예산 남연군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는 높은 언덕에 반구형 봉분이 크게 자리 잡고 있으며, 앞에 석물과 비석이 서 있다.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것을 1846년 이곳으로 이장했다. 이하응은 풍수지리설을 믿고 아버지인 남연군의 무덤 자리를 찾기 위하여 지사(地師)인 정만인(鄭萬仁)에게 부탁하였다. 지사는 전국을 두루 살펴보고 이곳을 ‘두 대에 걸쳐 천자가 나는 자리[二代天子之地]’라고 지목하였다. 이곳에는 본래 가야사(伽倻寺)라는 절이 있었고 묘자리에는 탑이 서 있었으나, 대원군에 의해 폐사되고 남연군의 무덤이 옮겨졌다. 이장한 7년 후 차남 명복(命福)을 낳았다. 철종이 후사 없이 돌아가자 종손이었던 명복이 12세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그 뒤 1866년(고종 3) 통상을 요구하다가 실패한 독일 상인 오페르트(Oppert,E.J.)가 미국인 젠킨스(Jenkins,F.)를 자본주로, 프랑스 선교사 훼론(Feron)을 통역관으로 삼아 백인 8명, 말레이지아인 20명 등 약 100여 명의 중국인 청년을 무장시켜 4월 18일 홍주에 정박하고 고덕으로 들어왔다. 러시아 병사라고 칭하고 남연군의 무덤을 훼손하였다. 이 사건으로 대원군은 양이(洋夷: 서양 오랑캐)에 대한 배척을 강화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더욱 엄히 하였다. 이 무덤을 파헤친 사건은 국내외로 커다란 비난을 받았다. 무덤 주변에서는 조선시대 기와가 많이 나오고, 또 탑을 파괴할 때 백자 2개와 단차(團茶) 2덩이, 사리도 3개가 나왔다고 이건창(李建昌)은 적고 있다.

 

▲남연군묘

 

▲남연군묘

 

▲남연군묘

 

▲남연군묘

 

▲남연군묘

 

▲남연군묘

 

▲남연군묘

 

▲남연군묘 장명등

 

▲남연군묘 장명등 문양

 

▲남연군묘 장명등 문양

 

▲남연군묘 장명등 문양

 

▲남연군묘 장명등 문양

 

▲남연군묘 장명등

 

▲남연군묘 묘비석

 

▲남연군묘 묘비석 앞면

 

▲남연군묘 묘비석 옆면

 

▲남연군묘 묘비석 뒷면

 

▲남연군묘 망주석

 

▲남연군묘 망주석

 

▲남연군묘 석양

 

▲남연군묘 석양

 

 

 

<2018. 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