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지산동 항아리(短頸壺) 고령 지산동 항아리(短頸壺) <국립김해박물관> ▲항아리(短頸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10.03.12
성주 법수사터 당간지주 성주 법수사터 당간지주 당간지주는 요즘말로 하면 깃발 게양대다. 옛날 절에서는 깃발을 세웠는데 기를 높이 세우기 위해서는 장대가 필요하고, 그 장대를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그게 바로 당간지주(幢竿支柱)다. 당(幢)이란 불·보살의 위신과 공덕을 표시하는 장엄용 불구의 하나인 깃발로 비..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11.24
성주 법수사터 삼층석탑 성주 법수사터 삼층석탑 법수사(法水寺)는 가야산 남쪽 경상북도 성주군 중기(中基) 마을에 있던 사찰이다. ‘중기’는 절터 중앙에 생긴 마을이라는 뜻이다. 신라 애장왕 3년인 802년에 세워진 화엄 사찰이었다. 창건 당시에는 금당사(金塘寺)라 하였으며, 고려 때 중창하며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11..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11.23
성주 오현재(梧峴齋) 성주 오현재(梧峴齋) 오현재는 성주이씨 중시조(中始祖) 농서군공(隴西郡公) 이장경(李長庚)의 묘소(墓所)가 있는 곳으로 성주이씨의 구심점(求心點)이 되는 곳이다. 공(公)의 묘소(墓所)는 처음에는 지금의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星州郡 月恒面 仁村里) 선석사(禪石寺) 옆 비호석봉(非乎石峰)에 있었으..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11.22
성주 관왕묘(關王廟) 성주 관왕묘(關王廟) 관왕묘는 중국 삼국시대의 명장인 관운장(관우)을 배향하는 묘당으로 관성묘(關聖廟)라고도 한다. 성주 관왕묘는 이조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명장 모국기가 성주성 승왜리 전투에서 승리하여 왜병을 물리친 것이 관운장의 영험이라고 믿고, 어명을 받아 세운 성주 관제묘다.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11.21
상주 옥동서원 상주 옥동서원 조선 전기 문신인 황희(1363∼145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518년에 세운 백화서원으로 출발했다. 1715년 사당과 강당을 중창하고 1789년 옥동서원으로 사액되었다. 황희는 태종(재위 1400∼1418)과 세종(재위 1418∼1450)대에 걸쳐 육조 판서 등을 두루 역임하였고 20여년 동안 의정부 최..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8.01
상주 향교 상주 향교 향교는 존현.육영의 현장이다. 상주는 고도요 웅주였던 만큼 향교 설치가 일찍부터 있었을 것이나 그 창건 년대는 상고할 수 없다. 1426년(세종 8)에 판목 조치(曺致)가 남루를 세우고 1485년(성종 15)에는 목사 강구손(姜龜孫)이 성전과 재루를 중창하였음은 향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임란(1592)에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7.31
상주 옥류정 상주 옥류정 양진당에서 상주 쪽으로 언덕을 오르다 좌측 산 속의 계곡에 자리잡은 옥류정은 세심소라는 폭포 앞에 자리잡아 시원한 물소리와 아름다운 경관을 항상 대할 수 있다. 전물 자체는 19세기 말에 조씨 일가의 휴양 독서처로 지은 것이며, 양진당 사랑채의 일부를 옮겨 지었다는 설도 있다. 4..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7.30
상주 추원당 상주 추원당 추원당(追遠堂)은 영조 35년(1759)에 목조와가로 최초 건립되었으며, 배치는 묘우, 강당, 내외삼문, 전사청, 고직사 등 전형적인 재사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곳은 조선 선조, 인조때의 학자인 정구, 김성일의 의 제자였던 검간 조정선생의 불천위를 모신 재사이다. 현재의 건물은 19세기 말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7.29
상주 오작당 상주 오작당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후에 이조참판에 추증된 검간 조정(趙靖, 1555∼1636) 선생이 지은 집이다. 선조 34년(1601)에 양진당 부근에 처음 지었다가 현종 2년(1661)에 지금 자리로 옮겨 지었다. 원래는 내사(內舍)와 외사(外舍)를 합하여 모두 40여 칸 건물이었으나, 정조 5년(1781) 공사 때..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