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양진당 상주 양진당 양진당(養眞堂)은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으며, 임진왜란 때 상주땅에서 가장 먼저 뜻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던 검간 조정(黔澗 趙靖, 1555-1636)이 지은 살림집의 안채이다. 다락집 형태로 1626년(인조 4)에 건립되었으며 1807년(순조 7)에 중수하였고, 1981년 7월 전면 해체하여 복원했다. 처음..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7.27
구미 봉한동 금동불입상 구미 봉한동 금동불입상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선산의 한 절터에서 2구의 삼국시대 금동보살입상과 함께 출토된 불상으로 통일신라의 금동불 중에서는 비교적 큰 규모이다. 한 장의 대의를 통견식으로 걸쳤는데 옷주름은 전체적으로 Y자형을 그리며, 대의 밑에 입은 군의의 하단에는 수직의 주..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4.15
상주 함창향교 상주 함창향교 함창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 객관이 있던 구향동의 남쪽 언덕에 창건되었고 인조 14년()1636에 이곳으로 이건되었다고 전한다. 그후 인조 26년(1648)에 명륜당을 중건하고 1907년 현감 이종호가 다시 중수하였다. 건물배치는 앞에 강학공간을 두고 뒤에 제향공간을 배치한 전학후묘의 형식..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4.08
문경 장수황씨 종택 문경 장수황씨 종택 이 건물은 세종때 영의정을 지낸 방촌(尨村) 황희(黃喜, 1363~1452)의 옛 집이다. 그의 7세손인 칠봉(七峯) 황시간(黃詩幹, 1558~1642)도 여기서 거주했다고 전하며, 현재의 건물은 당시의 모습은 아니다. 이 건물은 안채 및 사랑채, 중문채, 고방채가 있고, 우측에 별도로 사당 및 유물각이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4.07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높이 4.26m이다. 일제 강점기에 허물어져, 발견 당시 3층 몸돌이 근처에 새로 지은 제실(帝室)의 주춧돌로 사용되고 있는 등 탑의 각 부분이 흩어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1961년 9월에 복원하였다. 단층기단의 삼층석탑으로 특이한 형태를 가지..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4.06
성주 성산동 출토 항아리ㆍ받침대 성주 성산동 출토 항아리ㆍ받침대 <부산박물관복천분관> ▲항아리ㆍ받침대(有蓋長頸壺ㆍ鉢形器臺, 5세기 성산가야) ▲항아리받침대(筒形器臺, 5세기 성산가야)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1.03
성주 성산동 출토 뚜껑있는 네귀달린 항아리 성주 성산동 출토 뚜껑있는 네귀달린 항아리 <부산박물관복천분관> ▲뚜껑있는 네귀달린 항아리(有蓋四耳附壺, 5세기 성산가야) <2008. 12. 25>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1.03
성주 한개마을 월봉정(月峯亭) 성주 한개마을 월봉정(月峯亭) 마을의 공동 재실인 월봉정은 현재의 한개마을이 월봉공 이정현의 자손들이 사는 곳임을 상징하는 곳이다. 한개마을에 처음 정착한 사람은 조선 세종 때에 진주목사를 지낸 이우였고, 그 이후 월봉 이정현의 후손들이 모여 살면서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한다. 마을의 역..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1.02
성주 한개마을 첨경재(瞻敬齋) 성주 한개마을 첨경재(瞻敬齋) 첨경재(瞻敬齋)는 성산이씨의 누대 선조의 묘소에 대한 묘제(墓祭)를 봉향했던 병사(丙舍, 墓幕)로서 한개마을의 뒤쪽 영취산의 불매동에 있는 여러 조상의 분묘를 "공경한 마음으로 섬기는(瞻敬)" 위치에 건립된 것이다. 건물은 영취산에서 뻗어내린 협곡 사이에 토석담..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9.01.01
성주 한개마을 극와고택(極窩古宅) 성주 한개마을 극와고택(極窩古宅) 1998년 6월 3일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54호로 지정되었다. 1852년에 지은 이주희(李澍熙)의 살림집이다. 이주희는 공조판서 겸 판의금부사를 지낸 이원조(李源祚)의 손자인 홍문관 교리 이귀상의 둘째아들이다. 송병선(宋秉璿)의 문인으로, 진주목사와 수군첨절제사를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