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금오서원 구미 금오서원 금오서원은 야은 길재(冶隱 吉再, 1353~1419)의 충절과 학문을 기리기 위하여 조선 선조 3년(1570)에 지었다. 금오산 아래에 처음 지었으며 선조 8년(1575)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그후 임진왜란 때 불타버려 1602년 현 위치로 옮겨 지었다. 길재 외에 김종직(金宗直), 정붕(鄭鵬), 박영(朴..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6.22
구미 선산향교 구미 선산향교 선산향교는 조선 초기에 처음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나 당시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다. 그후 선조 33년(1600)에 부사 김용(金湧)이 대성전과 동서무를, 인조 원년(1623)에 부사 심륜(沈倫)이 명륜당과 동서재 등을 새로 지었으며 강당인 명륜당이 앞에 사당인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6.21
상주 병암고택(甁庵古宅) 상주 병암고택(甁庵古宅) 상우산이라 불리는 우산동천에서 약 2km 덜어진 이 마을을 하우산이라 부른다. 상우산은 터가 비좁아 마을을 이루기에 적합치 않아 정씨들의 집성촌은 하우산에 형성되었다. 병암고택은 우복 정경세의 6대손 입재 정종로(鄭宗魯, 1738~1816)선생의 아우인 재노공(宰魯公)이 주거..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6.01
상주 우산동천 우복종가(愚伏宗家) 상주 우산동천 우복종가(愚伏宗家) 이 건물은 조선 영조가 우복 정경세(鄭經世, 1563~1633)선생의 덕을 기려 하사한 땅에 5세손 정주원(鄭胄源)이 1750년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옥이다. 우산동천 좌측편 넓은 산등성이 중턱에 동향으로 앉아 있다. 1988년에 복원한 5칸 대문채 가운데 나 있는 솟을대..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5.31
상주 우산동천 계정(溪亭) 상주 우산동천 계정(溪亭) 대산루 앞에 남아있는 계정(溪亭)은 우복이 우산동천에 은거생활을 하기 위해서 1603년에 지은 정자로 청간정(聽澗亭)이라 부르기도 한다. 방1칸과 마루1칸의 최소규모에 초가지붕을 한 3량가의 소박한 건물이다. 마루 서쪽벽에 초가에서 보기드문 고식의 영쌍창이 나 있다. 창..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5.31
상주 우산동천 대산루(對山樓) 상주 우산동천 대산루(對山樓) 임진왜란 이후 1600년, 이조판서를 지낸 우복 정경세는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내려와 우복산장을 경영하며 은둔생활에 들어간다. 혼란기의 정권다툼의 아수라장을 피해 이곳에 내려와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였다. 우복이 죽은지 100여년이 지난 후 영조는 그의 후손들에게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5.30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이 탑은 1991년 지정 당시 인평동 소재 우암산(牛岩山) 정상 가까운 절터에 도괴되어 있던 것을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1998년 이곳으로 이건하면서 북장사 삼층석탑으로 이름하여 복원한 것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형식으로 탑신과 옥개는 각각 한 돌로 되어 있다. ..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5.30
상주 청리 출토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상주 청리 출토 오리모양토기(鴨形土器) <상주박물관> 오리를 비롯한 동물모양 토기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 보다는 무덤에 함께 묻혀서 죽은이의 영혼을 이승에서 저승으로 인도하기 위한 제사용품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몸통은 비어있고 양쪽으로 뚫려있어 액체를 담을 수 있..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3.23
상주 청리 출토 청자병(靑磁廣口甁) 상주 청리 출토 청자병(靑磁廣口甁) <상주박물관> ▲청자병(靑磁廣口甁, 고려시대 청리 H 지구 16호 출토 ) <2008. 2. 2>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3.23
상주 청리 출토 병(甁) 상주 청리 출토 병(甁) <상주박물관> ▲병(甁, 통일신라시대 청리 A-다지구 출토) ▲병(甁, 통일신라시대 청리 A-가지구 출토) <2008. 2. 2> ◈한국문화순례◈/낙서문화권 2008.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