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는 영산전 서쪽 벽면에 석가와 다보여래 곧 이불병좌상이 있는 다보탑 벽화이다. 화려하게 장식된 탑, 석가, 다보여래의 설법을 듣는 보살과 성문중 등이 적절하게 분산 배치되어 있고 색채 또한 빨강, 녹..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10.11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반야용선도(般若龍船圖)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반야용선도(般若龍船圖) 반야용선(般若龍船)은 어지러운 세상을 넘어 피안의 극락정토에 갈 때 탄다는 배를 말한다. 반야(般若)란 모든 미혹(迷惑)을 끊고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이나 모든 법을 통달하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을 뜻한다. 반야용선도는 망자..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10.11
김해 출토 돌검(磨製石劍) 김해 출토 돌검(磨製石劍)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돌검(磨製石劍, 청동기시대) <2010. 7. 18>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7.23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오층석탑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오층석탑 이 곳에는 수백년 전부터 노출된 기단부와 부서진 석탑부재들이 흩어져 있었으나 복원되지 못하다가 1991년에 지금과 같이 복원되었다. 원형복원을 원칙으로 하였는데, 결실된 4,5층 옥개석 및 탑신석을 새로 만들었고 특히 1층 탑신석은 발굴된 부재를 옛 그대로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10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선각금강역사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선각금강역사상 통도사 성보박물관 건물 입구에 있는 금강역사상으로 원래는 돌문에 새긴것으로 여겨진다. 고려시대 작품으로 보인다. ▲금강역사상 <2010. 5. 1>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10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석조금강역사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석조금강역사상 직각삼각형 판석에 조각된 금강역사상으로 금강계단에서 옮겨온 것이다. 전체적으로 반부조형식의 조각으로 4등신의 짧막한 신체를 가지고 있다. 머리는 상투를 하고 있으며 목이 없고 양손은 아래로 내려 권법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온몸에는 천의자락..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10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삼성각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삼성각 구룡지의 서쪽에 삼성각이 있다. 일반적으로 칠성여래, 나반존자, 산신을 함께 모시는 전각이 삼성각이다. 통도사 삼성각에는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칠여래와 함께 지공스님, 나옹스님, 무학스님이다. 세 조사는 고려말 조선초에 이땅의 불교를 융성시킨 성인으로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10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구룡지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구룡지 통도사 대웅전 뒤에 있는 연못이 바로 구룡지이며, 용혈암은 통도사 입구 무풍교 근처에 있다. 옛날 자장율사가 중국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본국으로 돌아와 통도사를 지으려고 하던 즈음이었다. 그 당시는 통도사 터는 큰 연못이었는데, 이 못에는 아홉 마리..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09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응진전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응진전 응진전은 대웅전의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조선 숙종 3년(1677)에 지섬대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으로 지붕 옆모습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지붕을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의 건..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09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명부전 불보종찰 순례 - 양산 통도사 명부전 통도사 명부전은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중심으로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그리고 염라대왕(閻羅大王) 등 10왕을 봉안한 전각이다. 1369년(공민왕 18)에 창건되었으며 중건, 중수의 기록은 알 수 없으나, ‘통도사사적비’에 따르면, 1760년(영조 36) 춘파대사(春波..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