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보종찰 순례 - 양산 영축산 통도사 불보종찰 순례 - 양산 영축산 통도사 영축산(靈鷲山)은 인도 마가다국(Magadha) 왕사성(王舍城)의 동쪽에 있던 그리드라(Gridhra;鷲, 독수리)라는 산이었다. 본래 이산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법화경(法華經)을 설한 유명한 곳으로 신선과 독수리들이 많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영축산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6.02
창녕 교동 은허리띠(銀製腰帶) 창녕 교동 은허리띠(銀製腰帶) <국립김해박물관> 허리띠 장식은 천이나 가죽에 금속으로 만든 장식품을 붙여 만들었다. 변진한에서는 호랑이나 말모양의 띠고리가, 삼국에서는 화려하고 복잡한 무늬를 장식한 것이 유행하였다. ▲은허리띠(銀製腰帶, 삼국시대) ▲은허리띠(銀製腰帶, 삼국시대) ▲..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4
의령 천곡리 자라모양토기(鼇形土器) 의령 천곡리 자라모양토기(鼇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자라모양토기(鼇形土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4
김해 항아리(壺) 김해 항아리(壺) <국립김해박물관> ▲항아리(壺, 가야시대) ▲항아리(壺, 가야시대) ▲항아리(壺,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4
김해 대성동 청동방울(筒形銅器) 김해 대성동 청동방울(筒形銅器) <국립김해박물관> ▲청동방울(筒形銅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4
마산 현동 대나무모양토기(竹筒狀土器) 마산 현동 대나무모양토기(竹筒狀土器) <국립김해박물관> ▲대나무모양토기(竹筒狀土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4
국립김해박물관 청동거울(銅鏡) 국립김해박물관 청동거울(銅鏡) <국립김해박물관> 고대의 거울은 뒷면에 여러가지 무늬나 글씨를 넣어 정성스럽게 장식하여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무늬나 글씨를 통하여 거울이 어느 나라에서 만든 것이며, 언제 수입된 것인지 등을 알 수 잇다. 또 당시 거울은 지배자급 무덤에..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4
김해 양동리 원통모양토기(筒形土器) 김해 양동리 원통모양토기(筒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원통모양토기(筒形土器, 가야시대) ▲원통모양토기(筒形土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4
함안 도항리 원통모양토기(筒形土器) 함안 도항리 원통모양토기(筒形土器) <국립김해박물관> ▲원통모양토기(筒形土器,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3
함안 윤외리 장대투겁방울(竿頭鈴) 함안 윤외리 장대투겁방울(竿頭鈴) <국립김해박물관> ▲장대투겁방울(竿頭鈴, 가야시대) ▲장대투겁방울(竿頭鈴, 가야시대) <2010. 1. 3> ◈한국문화순례◈/낙남문화권 2010.05.13